해양주권 선언’ 인천시, 친수공간 활용 7대사업 본격 시행

국가주도 해양정책에 맞서 ‘해양주권’을 선언한 인천시가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자체 사업에 착수한다.

 

13일 시에 따르면 ‘도시와 항만이 조화로운 해양도시’를 목표로 시민들이 찾을 수 있는 친수공간 조성사업이 인천 곳곳에서 추진된다.

 

우선 국토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중구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이 항만과 철도, 근대문화 자산과 연계되어 추진된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중구 월미도 인천 내항 1·8부두 개방과 맞물려 시민들이 찾을 수 있는 바다공간 조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인천 해안 주변 군 철책 대체사업 추진으로 시민들의 해안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연안 212㎞, 63.6㎞의 철책선 가운데 10곳을 우선 대체 대상지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약 33㎞의 철책을 걷어내 친수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화수·만석부두 활성화 방안도 추진된다. 각종 기반시설을 확충해 어항의 기능을 복원하고 수산관광지로 개발해 시민들이 찾아올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까지 40억원을 들여 공공용지 및 도로, 포토존, 이색테마거리조성 등의 도시기반 및 관광시설을 마련하는 한편 부두 주변 빈집과 골목길 정비사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한국수자원공사와 공동으로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 개발사업을 재추진, 수변 주거단지 및 수변 특화 문화시설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인천 내항 재개발 사업,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항만 재개발,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의 송도신항 및 무의도 남단 이전 추진 등의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시의 구상이 실현되기까지 갈 길은 멀다. 해양항만분야는 수산업무를 제외하고 국가에서 직접 추진하고 있어 지자체 사무가 극히 제한됐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항만재개발, 항만관리 및 연안항로 조성 등 일부 사무의 지자체 이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의 미래발전을 말하는 데 있어 바다를 빼놓을 수 없는 만큼 해양주권 회복을 통해 인천을 해양문명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