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술연구용역 제도 개선해 용역 예산 절반 이상 아꼈다!!

학술연구용역 제도개선을 추진 중인 경기도가 내년도 학술연구용역 관련 예산을 올해의 절반 이하로 축소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의 학술용역 건수와 관련 예산은 지난 2014년 30건 30억 원, 2015년 43건 58억 원, 올해 36건 54억 원 등 매년 수십억 원이 소요되고 있으며 평균 연구기간도 7개월에 달했다.

 

이에 지난 3월 남경필 경기지사는 “학술용역 상당수가 관행적으로 이뤄지면서 주요 사업 추진 속도를 더디게 하고 있다”면서 합리적 용역 시행 방안 마련을 주문했으며 이후 도는 지난 5월 학술용역 종합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개선 방안은 학술용역 추진 시 부지사의 사전검토제 운용을 비롯해 ▲학술용역 예산의 본예산 편성 ▲공무원과 공공기관 연구원, 민간전문가의 협업시스템 구축 ▲자체 용역 수행의 동기 부여를 위한 인센티브 지급 등이다.

 

이 결과 올해 36건의 학술용역이 내년에는 10건으로 감소할 예정이다. 관련 예산 역시 올해 54억 원에서 내년에는 21억 원으로 33억 원가량 줄어든다.

 

이런 성과에 대해 도는 사전 절차 강화에 따른 관행적 학술용역 추진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정책 과제의 자체 수행도 눈에 띈다.

 

건설본부 경기융합타운 추진단은 북부청사 광장리모델링 사업 기본계획을 스스로 마련했으며 교육정책과도 경기영어마을(파주캠프) 기능전환 용역을 독자 추진했다. 건설본부 관리과도 과적차량 단속 효율화 방안을 내부적으로 마련했고 관광과는 경기관광 글로벌 생중계 실행 방안을 개발하기도 했다.

 

안동광 도 미래전략담당관은 “학술연구용역 제도개선을 통해 부서별로 정책과제를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조직의 전문성, 창의성 등도 높아지는 분위기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