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국 최대 광역자치단체에 걸맞은 위상을 찾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인구는 1천300만 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국민이 살고 있으며 지역 총생산 전국 1위, 학생 수·학교 수·자동차 수 등 역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도는 중앙정부에 이 같은 위상에 걸맞은 대우를 해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 중이다.
먼저 도는 경기지사의 국무회의 배석 허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는 지난 2008년 2월 이명박 전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이어지고 있다.
당시 도는 “서울시장은 국무회의에 참석하는 반면 전국 최대 지자체이고 한국 경제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경기도지사는 참석을 못 한다”며 “경기도와 정부의 유기적 협력을 위해 경기도지사의 국무회의 참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도는 지난해 3월 도민이 1천300만 명에 육박하면서 행정 수요가 많이 늘었다는 이유를 들어 현재 3명인 부지사를 5명으로 늘려달라고 행정자치부에 건의했다.
이는 전문분야 부단체장을 임명해 업무성과를 높이는 ‘책임 부지사’ 제도를 도입하기 위함이다.
이밖에 최근 도의원의 지방장관 겸직도 여전히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경기지사와 부지사 및 실·국장의 직급도 서울시와 동등하게 상향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장은 장관급이나 경기지사는 차관급이다. 따라서 경기도 부지사와 실·국장들의 직급도 서울시보다 모두 한 단계씩 낮다.
도의 위상 찾기가 행정 조직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주요 시설의 명칭도 되찾겠다는 생각이다.
도는 지난 4월 서울외곽순환도로의 이름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해줄 것을 국토교통부에 요구했으며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서울요금소’, 안산시 상록구 장하동에 있는 서해안고속도로 ‘서서울요금소’, 하남시 하산곡동에 있는 중부고속도로 ‘동서울요금소’의 명칭도 해당 지역 지명이 들어가도록 변경할 것을 요구 중이다.
도 관계자는 “사실상 경기도가 한국 경제·사회 등 대부분 분야의 중심지로 성장했다”며 “앞으로 정부에 도의 위상에 맞는 대우를 하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