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인천지역 공공시설물 100% ‘내진성능 보강’

인천시가 지난달 경주지역 지진을 계기로 지역 내 건축물 내진보강 등을 골자로 한 지진 안전대책을 제시했다. 특히 바다를 매립해 조성한 연약지반이 지진 등 자연재해에 취약하다는 우려에 따라 송도·영종·청라국제도시를 대상으로 한 지질조사 추진도 예고했다.

 

김동빈 시 재난안전본부장은 17일 브리핑에서 “지난달 경주지역 지진발생은 인천을 비롯한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인식하게 해준 사례”라며 “인천을 지진 안전도시로 만들기 위해 행정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인천지역 공공시설물 970곳 중 내진성능을 갖춘 곳은 고작 489곳으로 내진률은 50.4%에 불과하다. 내진설계가 도입된 1988년 이전에 이미 건축된 경우가 많은 민간시설물의 내진률은 34%가량으로 더욱 심각하다.

 

이날 시에서 열린 ‘인천시 지진방재 보완대책 토론회’에서 발표자로 나선 김민수 ㈜합건설방재기술단 구조기술사는 “일반 시민들은 지진이 발생하면 고층빌딩이나 아파트가 재산·인명손실이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철골프레임과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현대식 고층건물은 오히려 받는 피해가 최소화된다”며 “인천지역 구도심에 있는 오래된 건물들이 지진에 따른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파괴되고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려고 시는 우선 공공건축물 내진성능 보강 완료시기를 당초 2045년에서 2030년으로 15년 이상 단축, 속도를 내기로 했다.

또 내진률이 24%에 불과한 학교시설은 시 교육청과의 지속적 협의를 바탕으로 성능보강작업을 빠르게 추진하기로 했다. 또 민간건축물은 중앙부처와 협의해 재산세·취득세 감편 등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지속적 홍보를 통해 건물주들의 내진보강작업을 독려하기로 했다.

 

연약지반인 바다매립지에 대한 지질조사도 추진된다. 시는 조만간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등 매립지 연약지반에 대한 지질조사 용역에 착수해 정확한 정보제공과 지진대응 정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동빈 재난안전본부장은 “예고 없이 발생하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방재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