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년 주민참여예산사업 최종 심의

인천시가 내년도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에 대한 최종 심의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일부 위원들이 주민 제안사업 반영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시는 1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2016년 인천시 주민참여예산 민관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그동안 시가 주관한 주민참여 제안사업 및 공모, 일선 군·구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및 예산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제안된 사업들 가운데 분과위원회 검토를 거쳐 선정된 33개 사업이 논의됐다.

 

대상 사업은 동별 건강생활지원센터 개소 등 보건분야 9건, 초등학교 성인지적 인권통합교육 등 여성가족분야 11건, 문화관광체육분야·환경녹지분야 각 2건, 경제산업·해양항공분야 각 3건, 건설교통분야 2건, 경제자유구역 관련 1건 등 33건이며 총 사업비는 20억원에 달한다.

 

앞서 시는 지난달 27일 열린 ‘2016년 주민참여예산 큰 마당’ 당시 주민투표로 선정된 8개 우수사업을 심의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등 예산 심의에 주력했다.

 

그러나 시의 예산부서에서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에 지나치게 적은 예산을 배정한다는 방침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제기됐다. 참여 위원들에 따르면 시 예산부서는 4억원 가량의 예산만 주민참여제안사업에 편성하는 내부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여위원은 “예산 규모를 정해놓고 사업을 추진한다면, 그동안 담당부서를 통해 의견접수를 왜 했는지 모르겠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협의회 논의가 끝나도 향후 시 전체 부서의 예산심의 과정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며 “시민들의 참여를 통한 예산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