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천년사업, 일회성 아닌 새천년 모색 방향으로

2018년은 경기도가 한국사에 처음 등장한 지 천년이 되는 해다. 1018년 고려가 왕경인 개경 일대를 ‘경기(京畿)’라는 행정구역으로 설정하면서 경기 천년의 역사가 시작됐다. 경기 천년을 기념하고 새로운 경기 천년을 모색하는 일은 경기도는 물론 대한민국 전체로도 의미있고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경기도는 아직 ‘경기 천년사업’에 대한 방향도 제대로 못잡고 갈팡질팡 하고 있다. 천년 역사를 기리고 도민들에게 자긍심을 높이며 경기도의 미래 성장동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기념사업으로 준비한다면서 구체적으로 나온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이런 가운데 남경필 지사가 경기 천년사업의 콘셉트를 ‘4차 산업’으로 할 것으로 지시하면서 더욱 헤매는 모습이다. 남 지사의 생각은 ‘00주년’ 기념사업 때마다 반복됐던 역사 되돌아보기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모색하자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도 공무원들은 아직 4차산업과 경기 천년의 연결고리를 찾지 못한 채 방향을 못잡고 있다.

결국 도는 내년도 예산안에 경기 천년관련 사업 예산을 한 푼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경기 천년사업을 추진하는 데 난항이 예상되고 졸속도 우려된다. 이러다간 또 일회성 행사가 되지않을까 싶다. 도는 2014년 ‘경기도 탄생 600년 기념사업’을 엉터리로 치른 바 있다. 준비없이 갑작스럽게 마련해 일회성 행사로 전락시켰다. 그런데 또 그 전철을 밟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경기도의 ‘경기 천년’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우왕좌왕하며 졸속으로 준비해선 안된다. 도는 ‘경기 천년’ 기념사업을 통해 1천300만 도민들에게 경기도에 대한 자부심과 애향심을 불어넣는 동시에 새로운 천년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천년 역사와 의미를 조명하고 새로운 천년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한다. 경기도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아내야 한다.

경기 천년사업은 역사ㆍ문화에 국한돼선 안된다. 통일, 경제, 시민사회, 도시문제 등 포괄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도민이 주체여야 하며, 지속가능한 사업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빠른 시일내 각계 전문가들로 ‘경기천년 준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공무원들이 모두 할 수는 없다. 남 지사가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경기 천년은 또다른 천년을 위한 터닝 포인트다. 경기도의 힘을 하나로 모아 새로운 천년을 대비하기 위한 원동력을 만들어 내는데 경기 천년의 의미가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