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투자신탁 형태 ‘사회적금융플랫폼’… 도민은행 역할 기대

‘경기 쿱 협동조합 10개 플랫폼’ 공개
지속가능 활동위해 도비·민간자본 유치… 점포·공장 매입지원
출산·보육 서비스 원스톱 제공 ‘마더센터’ 등 신규사업도 포함

경기 쿱(Co-op) 협동조합의 활동 무대가 될 10가지 플랫폼이 18일 공개됐다. 

이번 10가지 플랫폼에는 남경필 경기지사가 취임 후 2년여 동안 추진해온 정책과제들을 한 데 모은 것은 물론 신규 사업들까지 포함돼 있어 ‘남경필 표 공유적 시장경제의 완성판’으로 불리고 있다.

특히 협동조합이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 더욱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사회적금융플랫폼’은 경기도민은행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 민선 6기 정책사업 총 망라… 공유적 시장경제의 완성

이번에 공개된 10가지 플랫폼을 보면 기존의 사업과 신규 사업들이 모두 포함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민거주플랫폼인 따복아파트는 지난 5월 경기도가 민간건설사들과 ‘따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협약서’를 체결하면서 그 모습이 처음 공개된 바 있다. 당시 도는 민간건설사가 입주민들이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면 도가 이에 맞는 공동체 교육과 컨설팅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협약서를 체결했다. 이러한 따복아파트는 오는 11월 위례신도시에서 첫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대학생주거플랫폼은 서울대 농생대 부지에서 추진 중인 따복기숙사가 모델이다. 도는 저렴한 비용은 물론 편리한 교통 등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스타트업 창업기반 시설도 갖추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미래혁신교육플랫폼은 파주 영어마을에 도입될 예정인 거꾸로캠퍼스로, 거꾸로캠퍼스는 학생들이 수업 전 기초지식을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통해 미리 습득하고 수업 시간은 강의 대신 학생 중심의 토론과 다양한 활동으로 채워나가는 혁신적 수업 방식이다.

 

농민을 지원하기 위한 농민지원플랫폼은 경기농림진흥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산물유통센터가 그 중심이 될 전망이며 도농교류플랫폼은 얼마 전 용인시와 용인축산농협이 첫 모델로 선정된 따복미래농장이 중심사업이 된다.

 

이번 플랫폼에는 신규 사업으로 출산과 보육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마더센터가 도내에 도입된다. 마더센터는 지난 1980년대 독일에서 엄마들의 모임으로 시작됐으며 저출산ㆍ고령화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지역 사회와 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도시재생플랫폼인 ‘도시재생청년특구’사업도 주목된다. 향후 추진될 도시재생사업에 청년문화를 입혀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겠다는 것으로 청년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밖에 사회적기업 등을 한 곳에 입주시켜 집중 지원하는 따복지역경제타운 역시 사회적경제플랫폼으로 제시됐다.

 

■ 사회적금융 지원으로 경제적 부담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

10가지 플랫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사회적금융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나머지 9개 플랫폼 안에서 협동조합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뿌리’가 되는 플랫폼으로 볼 수 있다.

 

이 사회적금융플랫폼은 부동산투자신탁의 형태가 될 전망으로 도는 도비 투입과 민간자본 유치 등을 통해 부동산투자신탁회사를 설립한 후 협동조합에 운영자금 뿐 아니라 비즈니스를 위한 점포 및 공장 등 부동산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는 그동안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에 운영자금 위주로 자금이 지원, 단기적으로 경영실적이 좋지 않으면 사회적경제 주체들이 월세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어려움에 부딪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사회적금융플랫폼을 통해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도내 소상공인 등을 지원하게 되면 경기도의 숙원 사업인 도민은행의 역할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협동조합 등이 지속 가능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이 있어야 한다. 부동산이 있어야 버틸 수 있고 버텨야 성공의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것”이라며 “유럽에는 이미 이러한 자금 지원정책이 많이 있는 만큼 경기도 실정에 맞도록 벤치마킹해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