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제 교사 절반가량은 담임 맡아… 올해 48.6%차지

기간제 교사에 대한 차별과 처우가 열악해 점차 줄어야 한다는 지적이 매년 제기되고 있지만 개선이 미비해 교육 당국이 사실상 내버려 두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오산)이 19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교육청별 정규교사 및 기간제 교사 담임 현황’에 따르면 전체 교사 중 기간제 교사 비율은 2014년 11.1%(4만 2천916명), 2015년 11.5%(만 4천18명), 2016년 11.4%(4만 3천472명)로 개선되지 않고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 비해 개선된 교육청은 인천, 경기, 충북 등 단 3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14개 지역은 오히려 기간제 교사 비율이 늘어났다.

 

또 기간제 교사 중 담임을 맡는 비율은 오히려 늘어났다. 2014년에 46.5%(1만 9천969명)에서 2015년 45.0%(1만 9천794명)로 감소했다가 2016년 48.6%(2만 1천118명)으로 다시 늘어났다.

 

기간제 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13.7%), 울산(13.4%), 부산(12.8%) 등 이었으며, 기간제 교사 중 담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59.6%), 경북(55.9%), 대전(54.0%)의 순이었다.

 

안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대선 때 신규교사 채용을 확대하겠는 공약을 발표했고 교육부도 지난 2013년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육아휴직 등에 따른 교사 결원을 보충할 때 정규 교원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며 “공교육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신분이 불안정한 기간제 교사 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