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인천’ 글로벌 도시 비상] ‘권리찾기’ 스타트

인천주권 시대 열자
정부 공문 광역시 표기순서
서울·부산·인천·대구 요구
지역구 국회의원 증원 필요

인천시가 19일 국내 3번째 인구 300만 도시를 달성했지만, 이에 걸맞는 위상을 찾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정부의 광역시 표기순서 재조정과 지역구 국회의원 정수 확대 등 행정·정치적 영향력 확대는 물론 인천 곳곳에 산재한 국가기반시설에 따른 피해보상과 국가주도 해양정책에 맞서는 이른바 ‘인천 권리찾기’ 실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유정복 시장은 전국시도지사협회장으로 취임한 지난해부터 지방행정환경 변화와 지자체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지방분권 확대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이 과정에서 유 시장은 정부의 각종 공문에 사용되는 광역시 표기순서 변경을 강력히 요구했다. 현행 서울·부산·대구·인천의 순서를 서울·부산·인천·대구로 바꿔달라는 것이다.

 

지난 1981년 7월 전국단위 직할시가 출범할 때 인천은 모든 지표에서 대구에 뒤졌다. 그러나 인천이 인구 300만명을 달성한 현재 모든 지표에서 대구를 앞선 만큼 당연히 정부 표기순서가 뒤바뀌어야 한다는 게 인천의 주장이다.

 

인천지역의 국회의원 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4·13 총선에서 의석수가 1석 증가한 인천은 13명의 지역구를 두고 있는데, 인천보다 인구가 약 50만명 많은 250만 부산지역 국회의원수는 무려 18명이다.

이에 반해 인천보다 인구가 50만명 적은 250만 대구지역 국회의원수는 12명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 따라서 중앙 정치권에서 인천의 영향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국회의원 수가 늘어나냐 한다는 지역 정치권의 목소리가 높다.

 

아울러 유정복 시장이 주장하고 있는 ‘인천의 권리찾기’ 실현 여부도 관심사다. 무려 9곳의 화력발전소와 LNG기지, 세계적 규모의 쓰레기매립장 등 서울과 경기도를 위한 환경위해시설 운영에 따른 시민들의 피해보상과 국가주도 항만정책으로 인천 바다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적극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유 시장은 “인천의 발전을 위해 정부를 상대로 인천의 권리찾기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