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청은 주로 경기, 충청, 전라도에 있었으며 수원에도 경기 지방을 대표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화성재인청이 있었다.
화성재인청이 수용하고 있던 예능의 기능은 전통 무형문화 유산인 음악, 무용, 연희(演), 놀이, 의식, 무예 등 가(歌)·무(舞)·악(樂)의 다양한 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었다. 조선조 정조시대의 ‘화성성역의궤’와 ‘정리의궤’ 속에 화성행궁 낙남헌(洛南)에서 펼쳐진 ‘낙성연도(落成宴圖)’에는 수원화성에서 펼쳐진 지배계층을 수용층(受容層)으로 하는 궁중정재(宮中呈才)와 기층민(基層民)을 수용층으로 하는 가(歌)·무(舞)·악(樂)이 융합된 민간 연희의 다양한 장면을 찾아 볼 수 있다.
그것은 오랜 역사를 통하여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화적 가치가 변용되었으나, 그 문화 내용은 오랜 시간을 통하여 축적하여 온 다양한 문화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화성재인청이 지니는 문화적·역사적 가치는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문화적 보고(寶庫)라 할 것이다. 따라서 화성재인청은 우리나라 전통문화 유산의 보고이자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는 것이기에 주목해야 한다.
조선조가 멸망하고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 일제의 전통문화 말살정책에 따라 화성재인청도 자연스럽게 붕괴되었다. 화성재인청의 붕괴에 따라 그 조직과 기능이 인멸되어 현대사회에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문화기반을 잃고 있음은 커다란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문화유산의 복원은 유형과 무형이 함께 복원되어야만 온전한 복원이라고 할 수 있다. 유형유산인 수원화성은 복원되었는데 무형의 문화유산이 함께 복원되지 못했다. 화성재인청의 복원이 이루어져야 수원화성의 온전한 복원도 그 모습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4년에 수원에 화성재인청복원사업 추진위원회가 결성된 바 있으며, 경기문화재단의 후원으로 2006년까지 3개년에 걸쳐 ‘화성재인청’과 그 예술의 보존·전승을 위한 학술회의를 개최하여 ‘화성재인청’ 복원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으나 더 이상 확산 발전되지 못했던 것은 무척 안타까운 일이었다.
중차대한 사업의 구체적인 결실을 위하여서는 화성재인청 복원과 연관된 전문적인 학자들과 전통예술가들이 공동의 장을 마련하여 체계적이고 완벽한 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화성재인청 의 복원과 예술의 보존·전승을 위한 공동 작업을 해나가야 한다.
앞으로 수원시는 화성재인청 복원의 실현을 통하여 수원시민들에게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이어받은 전통적 문화도시 수원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부여함은 물론, 경기도의 중심도시로서 수원시에 꽃 피었던 화성재인청의 전통예술을 국내는 물론 세계에 보여줌으로써 전통문화도시로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
김승국 수원문화재단 대표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