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위 구성 의결… 연내 심의·공모
2달째 공석인 인천항만공사 사장 자리를 놓고 지역인물론과 중앙인물론으로 갈리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27일 제147차 항만위원회를 열고 인천항만공사 사장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기로 의결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항만위원회 항만위원 3명과 외부위원 2명 등 5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임원추천위의 결정에 따라 11~12월동안 사장 선임 추진계획을 심의하고 사장공모를 진행해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 최종 후보자를 추천할 계획이다. 최종 결정은 해양수산부장관이 임명한다.
항만공사 사장 공모절차가 시작되면서 지역에서는 지역인물론과 중앙인물론이 부각되고 있다.
인천항에 여러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보니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물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인천항의 현황을 잘 알고 있는 지역인물이 필요하다는 여론과 중앙정부의 협조와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중앙인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일단 지역인물론 쪽으로 무게가 쏠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인천항은 중앙정부의 투 포트 정책(부산항·광양항 우선지원 정책)이나 배후단지 개발 지연 등 중앙정부로부터 홀대를 받고 있다는 불만이 팽배해 있다.
또 그동안 인천항만공사가 지역사회와의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인천지역 인물이 항만공사 사장이 돼야 중앙정부의 뜻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고, 낙하산 인사도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인천경실련은 최근 성명을 내고 항만공사 사장 공모에 인천시가 적극 나설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반면 해수부 등 중앙정부와의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어야 한다는 중앙인물론도 무시하기는 어렵다. 인천신항 배후단지 개발이나 인천내항 재개발, 연안·항운아파트 이전 등 지역현안을 해결하려면 해수부와의 합의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칫 해피아 등 낙하산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는만큼 적극적인 목소리는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 항만공사 사장공모에 참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로는 인천항만업계 원로와 해수부 출신 전 국회의원, 업계 출신 정치인, 인천항만공사 임원출신, 학계 전문가 등이 거론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