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등 건축자산을 단순 보존을 넘어 지역가치 향상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30일 경기도가 추진할 건축자산 지원 기준과 등록ㆍ관리 방안을 담은 ‘경기도 한옥 등 건축자산 진흥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는 근대건조물 지원 조례를 지정해 건축자산을 관리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수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보고서는 건축자산의 범위·유형을 구체화하고, 타 지자체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축자산 지원 기준과 등록·관리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방안으로는 ▲지정ㆍ해제가 자유로운 유연한 관리 체계 ▲지역적 활용을 위한 가치 평가기준 적용 ▲등록 후 활용계획서 검토를 통한 선별적 지원 ▲리모델링의 자율성 확보 ▲소유자 및 활용·관리 조직을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마련 ▲기초지자체의 권한 위임을 통한 현장 중심적 활용 강화 등이다.
특히 한옥마을은 양적 조성을 위한 지원보다는 이미 조성된 한옥마을이 잘 유지ㆍ관리될 수 있도록 활성화를 유도하고, 신규 조성 시에는 미래의 건축자산으로 남길 수 있도록 입지 선정과 건설 품질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남지현 경기연 연구위원은 “한옥 등 건축자산은 지역적 활용가치와 집합적 가치를 중시하고 활용 주체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 유지될 수 있도록 차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 1월 ‘한옥 등 건축자산 보존과 진흥에 관한 조례’ 제정을 통해 광역적 차원에서 한옥과 근대건축자산을 통합 지원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