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용역비 7억원 편성
1·8부두 재개발 방안 담아
해양수산부가 인천 내항 전체 발전전략을 담을 마스터플랜을 짜기로 했다.
해수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인천 내항 마스터플랜 용역비로 7억원을 편성했다고 30일 밝혔다.
해수부는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중장기 계획 없이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면 인천 내항의 전체적인 발전 계획이 엇박자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마스터플랜을 준비하고 있다.
마스터플랜에는 앞으로 20~30년간 인천 내항 물동량 추이 분석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인천 내항 전체의 재개발 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다.
해수부가 직접 항만 재개발 마스터플랜을 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의 경우 1단계 재개발 용역비는 해수부가 투입했으나, 나머지 부분의 개발계획은 부산시가 따로 추진한 것이다.
해수부는 항만 재개발사업의 경우 현 시점에서는 물동량 이전 등 장기적인 동향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범지역적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플랜에는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뿐만 아니라 6부두 물동량 재배치 및 재개발 방안 등이 단계적으로 담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인천시는 최근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6부두 항만기능을 폐쇄하고 오는 2020년 재개발하는 방안을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타당성 분석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류됐다. 해수부는 국회 예산 심의 등을 거쳐 예산확보 작업이 완료되면, 시와 협의해 마스터플랜에 담을 내용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가 추진하는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도 인천 내항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시는 국토교통부로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8부두 일원에 상상플랫폼을 조성하는 내용이 포함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도 해수부의 마스터플랜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해수부와 합의가 된다면 마스터플랜을 공동발주하는 형식도 가능하다. 시는 해수부가 먼저 예산을 편성했으니, 시가 일부 추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공동시행 하는 것을 제안했다.
영종 경제자유구역 미개발지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도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각각 협약으로 정한 지분대로 예산을 편성해 종합계약 공동발주를 한 사례가 있다.
이와 관련 해수부 관계자는 “마스터플랜 용역을 거쳐 인천 내항 전체에 대한 재개발 방향과 계획을 정립한 뒤 여건에 따라 단계적 시행할 계획”이라며 “시와 내년에 마스터플랜 용역사업이 시작되면 본격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