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김종인·고건 등 거론
야당 수용할 인사 선택 과제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최순실 파문으로 야기된 국정 위기를 수습하는 차원에서 ‘책임 총리’ 차원의 후임 국무총리 인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비서실장과 정무수석 등 청와대 참모들에 대한 후속 인사도 중요하지만 국민적 분노와 야당의 공세를 감안할 때 총리 지명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청와대와 새누리당 안팎에서 감지된다.
박 대통령은 당초 당 최고위원회가 제안한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검토했으나 야당이 반발함에 따라 야당도 수용할 수 있는 인사로 총리 후보를 정하고, 성남 민심을 다독거리기 위해서는 큰 폭으로 권한을 주는 책임총리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책임총리에게 내치(內治)를 맡기고, 내각을 구성하는 ‘조각권’ 또한 책임총리에게 넘겨 실질적 권한을 갖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국무총리의 경우 인사청문회를 거쳐 국회의 임명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야당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있고 중립적인 인사를 선택해야 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로 여겨진다.
차기 총리 후보로는 김병준 국민대 교수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고건·김황식 전 국무총리,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심대평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국정 수습 차원에서 이른바 ‘책임 총리’를 임명하고 권한을 큰 폭으로 주는 것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면서 “그렇게 되면 사실상 ‘분권형 대통령제’를 도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