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3~4일 아시아경제공동체포럼 개최…주제는 ‘통일과 아시아공동체’

인천대는 3일부터 이틀간 송도 홀리데이인 호텔에서 ‘통일과 아시아공동체’를 주제로 제8회 아시아경제공동체 포럼(Asia Economic Community Forum; AECF)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인천대는 지난 2009년 미래 아시아공동체의 본부를 유치해 ‘인천을 아시아의 브뤼셀’로 만들자는 슬로건 하에 첫 번째 포럼을 개최했었다.

 

그동안 포럼은 북한 정권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나 북한의 급변사태 어느 경우에도 동북아지역에 지역협력과 통합이 진전되어야 통일에 따른 혼란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올해 포럼엔 모두가 원하는 바람직한 통일을 이루려면 아시아 특히 동북아 지역에 협력과 통합의 구조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하에 한반도 통일과 아시아지역통합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주요 아젠다로서 현재 동북아를 둘러싼 북핵 문제와 사드 갈등 등을 비롯한 미·중 및 미·일, 중·러 간의 신 냉전구조가 굳어지는 안보 위기를 다룬다. 또 최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및 미국의 트럼프 현상 등에서 보듯이 21세기 글로벌 자본주의가 그 적폐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 선진국들이 보호주의와 신고립주의의 길로 들어서는 글로벌 자본주의의 문제점 즉 경제 위기 문제를 다룬다.

 

이와 함께 글로벌 경제 환경 악화 등으로 인해 현재 한국 경제가 저출산·고령화와 함께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계층·세대 간 갈등이 심화되는 심각한 경제사회적 위기에 대해서도 논의된다. 이 같은 문제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한편, 3일 오후에 열리는 개회식에서 조동성 인천대 총장과 양훌란 한중일협력사무국 사무총장이 축사를 한다. 기조연설로는 비교경제학의 대가인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의 조셉 브라다 교수가 ‘통일: 역사적 시각에서 본 국제적 경험’이라는 주제로 과거 유럽 등의 통일의 사례를 비교하고,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을 분석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