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왜 늦나 봤더니…경기 시내버스 지난 3년간 무단감차 적발만 1천562건!

경기지역 버스업체들이 무단으로 배차차량을 줄이거나 운행횟수를 줄이면서 장시간 버스를 기다리는 도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최종환 의원(더불어민주당ㆍ파주1)이 도로부터 제출받은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 운행 중인 버스 가운데 무단감차를 하다 적발된 건수는 총 1천562건으로 이들 감차 차량에 부과된 과태료만 20억9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4년 522건, 2015년 828건, 올해 6월 말 기준 212건이 적발됐으며 과태료는 2014년 6억3천만 원, 2015년 11억3천650만 원 올해 2억4천250만 원이 각각 부과됐다.

 

무단감차가 가장 많은 지역은 부천시로 나타났다.

 

부천시는 2014년 도 전체 무단감차 적발 건수의 44.3%인 231건이 적발됐고 2015년에는 전체 적발건수의 76.9%인 637건이 적발됐다. 올해 6월 말까지는 67.9%인 144건이 무단감차로 적발됐다.

 

특히 부천시 소재 S여객의 경우 최근 3년간 무단감차 947건이 적발, 모두 11억8천4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는 등 도 전체 적발건수의 60.6%, 과징금 부과건수의 58.9%를 차지해 단일 운송업체로 3년 연속 도내 무단감차 1위의 불명예를 기록했다.

 

인가 운행횟수대로 제대로 운행하는 인가준수율이 가장 높은 업체는 수원시 소재 삼경운수로 2013년 98.6%로 1위, 2014년 96.8%로 1위, 2015년 96.8% 2위를 차지하는 등 3년 연속 최상위 순위를 기록했다.

 

반면 인가준수율이 가장 낮은 업체는 파주시 소재 S여객으로 2014년 58.5%, 2015년 53.4%로 2년 연속 최하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환 의원은 “경기도는 버스업체에 대해 2년마다 실시하는 ‘경영 및 서비스 평가’ 결과에 따라 재정지원 규모를 결정하는 만큼 무단감차 업체와 인가준수율이 낮은 업체에 대해서는 패널티를 부여하는 등 강도 높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