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서울시, 민관협의체 구성 합의
새로운 관광루트 양측 윈윈 전기마련
그동안 서울시 환경 우려 한강행 발목
일단 양측 협상테이블 긍정적 결과 기대
경인 아라뱃길과 한강을 오가는 유람선이 다시 운항을 시작할 수 있을 지 논의하는 대화의 자리가 마련될 전망이다.
국무조정실은 최근 인천시와 서울시에 경인 아라뱃길~한강 유람선 운항을 논의할 민관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인천과 서울은 각각 공무원 1명과 민간 전문가 3명을 추천해 총 8명으로 구성된 민관협의체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양 기관은 이달 안으로 민관협의체 구성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인천 연안부두~경인 아라뱃길~한강(밤섬)을 연결하는 1천t급 대형 유람선 운항을 희망하고 있다. 경인 아라뱃길 관광을 활성화하려면 유람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시는 한강에 대형 유람선이 다닐 경우 밤섬 환경피해 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반대의사를 표명해왔다.
경인 아라뱃길을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난 2013년부터 서울시에 유람선 운항과 여의도 임시선착장 사용을 요청하고 있고, 인천시도 황교안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규제개혁 회의 등에 건의했으나 양측의 입장차가 워낙 커 의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결국 인천시는 국무조정실에 조정을 요청했다.
국무조정실은 현장조사 등을 진행했으며, 인천시, 서울시에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폭넓게 듣고 경인 아라뱃길 한강 유람선을 운항하면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나 환경훼손 등 문제점 등을 면밀히 살펴보는 자리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인천시와 서울시가 모두 민관협의체 구성에 합의하고 대화를 하기로 나선 만큼 지역 안팎에서는 경인 아라뱃길~한강 유람선 사업의 새로운 국면을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인천시는 대형 유람선이 경인 아라뱃길 뿐만 아니라 한강 등 서울지역 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시민들이나 외국인 관광객들이 유람선을 타고 인천과 서울을 오갈 수 있고, 인천 앞바다 섬 관광과 연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인천시 관계자는 “민간협의체에서 어떤 논의가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할 사항이지만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생긴 것만으로도 긍정적인 진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