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어디로 가나’ 정치권, 여론 향배 주시

제목 없음-7.jpg
▲ 5일 저녁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모이자! 분노하자! 내려와라 박근혜 2차 범국민행동' 문화제에 참석한 시민들이 광장에서 행사를 마친뒤 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

박근혜 대통령의 눈물도 성난 민심을 돌이킬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정치권이 민심의 향배를 그 어느 때보다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 하는 자괴감이 들 정도로 괴롭기만 하다”며 최씨 사태에 대해 사과했지만 다음날인 5일 광화문 촛불 집회에 주최 측 추산 20만 명(경찰 추산 4만 5천 명)이 모여 ‘박근혜 하야’·‘퇴진’을 요구하는 등 성난 민심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여야는 이날 집회에 대해 “나라를 걱정하는 국민의 목소리와 뜻이 담겨 있다”, “국민의 거대한 힘을 보여준 역사의 이정표”라며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사태해결과 정국 정상화를 위해서는 상대방이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만 거듭, 국민에게 실망감과 분노를 더해주고 있다.

 

한광옥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은 6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어제 광화문 광장에서 보여준 국민의 준엄한 뜻을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고 말해 이번 집회를 통해 민심의 심각성을 재확인했음을 시사했다.

 

한 비서실장은 “하루속히 국정 혼란과 공백을 막고 정부 본연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할 수 있도록 비장한 각오로 업무에 임해야 될 것”이라면서 “한 줌의 의심 없이 진상을 밝히는 데 청와대 비서실도 최대한 협조해야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 비서실장이 청와대 비서진을 추스르는 가운데 박 대통령은 이번 주 정국 수습책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며 일단 ‘김병준 책임총리’ 카드를 거부하는 야권을 상대로 전방위 설득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야 영수회담 실현을 위해 야권에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파격적인 제안을 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김 총리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서를 국회에 제출해야 하지만 일방적으로 제출할 경우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영수회담 성사 여부와는 별도로 대국민 담화에서 빠진 ‘책임총리 보장’과 ‘2선 후퇴’ 의사를 직접 밝히는 방안도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권 일각에서는 최후의 방안으로, 김 총리 내정자를 포기하고 야당이 동의하는 총리를 임명해 거국중립 내각을 구성하는 수순으로 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당 지도부 사퇴를 놓고 깊은 ‘내홍’에 빠진 새누리당은 주말 광화문 집회에 대해 “커다란 민심의 물줄기와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환골탈태의 자세로 더욱 각성하겠다”면서도 “(야당이) 사태 수습과 국정안정을 위해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야당에 공을 넘겼다.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영수회담 과정에서 대통령의 담화문에 담기지 않은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 및 내각구성, 향후 정치일정 등에 대한 폭넓은 주제가 논의될 것이다”면서 “이제 야당이 화답할 때”라며 영수회담 수용 등을 촉구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40년 최태민, 최순실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채 드디어 국정농단까지 야기된 상태에서 대통령은 더 이상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며 대통령의 조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추 대표는 “대통령이 먼저 하실 세가지(별도 특검과 국조, 김 총리 내정 철회, 2선 후퇴 및 국회 추천 총리 수용)를 말씀 드렸다. 다른 야당은 세가지 요구조건에 덧붙여 대통령의 탈당도 추가했다. 다 맞는 말씀”이라며 “이것은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한편, 검찰 특별수사팀은 이날 횡령ㆍ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소환, 관련 의혹 전반을 추궁하고 있어 이번 주중 기소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