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南지사, ‘K-컬처밸리’에 침묵하는 이유 있나

박수영 전 경기도 행정1부지사의 K-컬처밸리 사업 관련 설명은 일관된다. 9일 본보 논설팀과의 통화에서도 그간 피력해왔던 주장을 재확인했다. 최초 제안은 지난해 2월 초에 있었다고 했고, 최초 제안 전달자는 “안종범 전 수석이 아니고 그 밑에 있는 관계자(행정관)”라고 밝혔다. 차은택씨와의 접촉 여부에 대해서는 “이름도 이번에 처음 들었다”며 부인했다. 남경필 도지사 보고는 “그 즉시(2월 초) 보고했다”고 확인했다.

그가 강조한 것은 ‘경기도 이익’이다. 사람만 있고 일자리가 없는 고양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판단했고, 경기도보다 청와대가 나서 주는 게 사업 속도나 투자 규모 면에서 훨씬 이익일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경기도가 얻은 이익도 설명했는데 주변 부지의 규제 철폐다. ‘부지와 접한 한강 쪽 땅 28만평’을 푼 것도 사업을 추진하며 (청와대로부터) 경기도가 챙길 수 있었던 이익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는 K-컬처밸리 의혹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밝히는 바다. 의혹은 밝혀야 하되 사업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당시 도정의 총괄 책임자였던 박 전 부지사도 이날 대화 속에서 이 부분을 강조했다. “우리(경기도)가 하면 국토부, 농림부, 환경부 결재를 거치다가 세월 다 간다”는 말로 설명했다. 이제 남은 건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의혹을 털고 가야 한다는 숙제뿐이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남 지사의 해명이다. 박 전 부지사가 설명한 것은 사업의 일반적 개요다. 행정 부지사가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없다. 도민의 눈은 이제 남 지사의 직접 해명을 기다리고 있다. 도가 한류마루 사업을 공개한 지 일주일 만에 K-컬처밸리로 급선회한 과정의 도지사 역할을 궁금해한다. 계약 과정에 빚어진 특혜 의혹도 지사가 직접 설명해주길 바란다. 행정 부지사의 일이 아니다. 도지사가 해야 할 설명이다.

이미 안종범 전 수석은 구속됐다. 차은택씨도 긴급체포돼 검찰에 있다. 어떤 형태로든 K-컬처밸리 사업에 대한 검찰 진술은 만들어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 지사의 선제적 해명의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최순실 사건 초기 강경했던 남 지사의 워딩이 K-컬처밸리 논란 이후 갑자기 조용해졌다. 이를 두고도 정치적 해석이 분분하다. 이래저래 설명이 절실하다. 박 전 부지사가 다 말하지 않는-또는 다 말할 수 없는- 부분이 더 있을 수도 있는 것 아닌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