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수억들여 道 지정받고도 10년째 관리안해… 예산만 낭비
안산시가 외식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록구 사동 일대를 수억 원의 예산을 들여 경기도와 정부로부터 음식문화시범거리와 음식문화개선특화거리로 지정받고서도 10여 년째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이들 거리에는 다가구 주택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며 주차난이 가중되는 등 애초 조성 취지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9일 경기도와 시 등에 따르면 시는 1990년 무허가 음식점이 난립하면서 ‘사동 절골’이나 ‘먹자 골’ 등으로 불리던 상록구 사동 1347의 52일대를 정비, ‘댕이골’로 지역 명칭을 변경했다.
댕이골은 지난 1997년 IMF 한파 이후 상권이 급속히 쇠퇴했지만, 시는 상권 활성화를 위해 1999년 4월 자체로 ‘음식문화의 거리’ 지정에 이어 지난 2005년 5월 경기도가 추진하는 ‘음식문화시범거리’ 조성 공모사업에 참가, 시범거리로 지정받았다.
시는 이후 5년간 경기도로부터 3억 8천200만 원을 지원받는 등 총 5억3천4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전통음식을 테마로 음식문화시범거리를 조성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
또 지난 2010년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음식문화개선특화거리’로 지정받는 등 전통음식거리로 선정됐다. 당시 댕이골에는 다양한 한식을 주제로 한 음식점 30여 곳이 들어서 있었다.
그러나 지속되는 경기 침체로 음식문화의 거리는 음식점 대신 다가구 주택들이 지속적으로 신축되고 있다. 더욱이 휴게음식점이 들어서는 등 애초 취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어 예산 낭비도 모자라 제 기능마저 상실했다는 지적이다.
댕이골 내 한 음식점 관계자는 “외식업을 살리겠다는 당초 취지는 온데간데 없다”며 “다가구 주택들만 신축되는 등 댕이골은 안산시의 대표적인 예산낭비 사례”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다가구 신축은 사유재산에 대한 문제로 제재 대상이 아니다”면서 “생각만큼 음식문화의 거리에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