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옷의 멋과 아름다움… 경기도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조선시대 관복·예복 등 60점 전시
옛사람들 감각적 의복문화 엿보기

제목 없음-1 사본.jpg
조선시대 조복 재현복
조선 사대부의 의복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경기도박물관은 11일부터 내년 3월5일까지 개관 20주년 특별전 ‘衣의·紋문의 조선’을 진행한다.

 

‘조선시대의 의복과 문양’을 주제로 한 전시는 박물관이 소장한 1천400여점 중 선별한 60점의 전시작품을 볼 수 있다. 전시는 ‘공무용 예복, 흑색 단령’ ‘유학자의 예복, 백색 심의’ ‘여성의 예복, 녹색 원삼’ ‘의례용 예복, 홍색 조복’ ‘남녀 덧옷, 배자’ 등 5개 마당으로 구성됐다.

 

1부 ‘공무용 예복, 흑색 단령’에서는 조선시대 관리의 공무복인 ‘흑색 단령’을 전시한다. 보통 붉은색으로 알고 있던 관리의 의복은 사실 흑색으로, 국내에서 구할 수 없던 검은 옷감으로 만든 것이다. 품계를 알리는 새, 사자 등 문양을 수놓은 흉배를 시대 변화 순으로 배치해 흥미 요소를 더했다.

 

2부 ‘의례용 예복, 홍색 조복’에서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입을 수 있는 가장 화려한 옷인 ‘녹색 원삼’을 소개한다. 전시된 녹색 원삼 중 소매가 짧은 원삼은 조선 출토유물에서만 볼 수 있다. 박물관 소장품인 중국 초상화에서는 조선과 명의 비슷한 복식을 찾을 수 있다.

 

3부 ‘유학자의 예복, 백색 심의’는 하얀 천, 검은 깃을 특징으로 한 유학자의 옷을 전시한다. 조선 선비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알 수 있다. 백색 심의는 다른 옷들이 비단으로 만들어진 데 반해 무명이나 모시를 이용, 검소함을 추구하는 선비정신을 옷에 반영했다.

 

4부 ‘의례용 예복, 홍색 조복’은 전시의 하이라이트다. 조복은 새해 첫날이나 나라의 큰 행사가 있을 때 입는 옷으로 붉은 색 의례복, 금관, 허리에 두르는 서대 등을 착용한다. 4부에서는 특히 조복의 무릎가리개인 ‘폐슬’이 눈길을 끈다. 

제목 없음-2 사본.JPG
조선시대 조복 재현복
권우 묘에서 출토된 폐슬은 화려한 금빛 자수가 온전히 출토된 첫번째 사례다. 당시 화려한 색감을 그대로 살린 재현작이 출토유물과 함께 공개된다.

 

마지막은 ‘남녀 덧옷, 배자’다. 배자는 조끼의 형태로 보온을 위해 입었던 옷이다. 또 규제가 없어 당시 자유롭게 입을 수 있었던 옷이다.

 

국가무형문화재인 누비장 김해자, 침선장 구혜자, 자수장 최유현 등이 참여, 유물을 생생하게 재현해냈다. 또 박물관에서 5년째 운영 중인 규방공예 동호회 회원들의 전시를 함께 마련하며, 배자를 현대식으로 직접 만들고 입어볼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출토복식유물과 기증유물들을 1천400점 보유하고 있는 경기도박물관만이 할 수 있는 전시”라며 “출토유물과 재현작 뿐만 아니라 당시 의복착용모습을 볼 수 있는 병풍과 초상화 등을 함께 전시해 더욱 흥미로울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031)288-5355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