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기 안전관리를 강화하려면 항공사가 축적한 항공기 결함, 비정상운항 자료 등을 빅데이터로 활용해 항공사 특성에 맞는 고유 정비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토교통부는 17일 메이필드 호텔에서 국적 항공기 관계자, 항공기 정비 분야 전문가, 연구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항공기 정비 선진화방안을 논의하는 ‘항공기 감항(정비)분야 안전 세미나’를 열었다.
국내 항공산업은 지난 10년간 저비용항공(LCC) 등장, 제주 관광객 유입, 해외여행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항공사는 2006년 2개에서 올해 11월 기준 9개로 늘었으며, 항공기 등록대수는 181대에서 343대로 증가했다. 항공여객 운송실적은 올해 5천만 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항공기 안전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기체 결함, 이륙 중단, 기내 연기, 항공기 비상시스템 고장 등으로 인해 발생한 항공안전장애사고는 총 128건이다. 2014년 108건보다 19% 증가했다. 항공기 정비로 인해 지연·결항은 총 1천203건이나 된다. 특히 운항 10만회당 결항(기체결함) 건수는 LCC 5개사가 63건으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15건보다 4.2배나 많다.
무엇보다 항공기 대수, 항공여객 이용자, 항공운송사업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항공기 상시점검, 특별점검, 각종 항공안전대책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국토부 측은 “정부 항공안전감독관의 인력을 확대하는 것도 한계가 있고, 중복점검 등 비효율적 부분이 문제”라면서 “각종 점검결과 등을 분석해 효과적인 항공안전감독 체계로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제주항공 측은 “항공안전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다”며 “항공기 기자재를 충분히 확보하거나 예방정비를 강화하고, 맞춤형 정비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은 “정비결함 분석시스템을 구축해 결함이력을 관리하면서 지연이나 결항을 발생시키는 부품을 분석하는 등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점검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국토부는 2017년을 ‘항공기 안전 관리 혁신 원년’으로 삼아 항공안전관리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