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후 입시 전략] 가채점 점수 높으면 정시… 낮으면 수시 공략

대학별 수능 반영 유형따라
유불리 분석 지원전략 짜야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7일 치러짐에 따라 수험생들은 이제 본격적으로 대학 입학 전략을 짜는데 매진해야 한다.

 

수험생들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일정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수능 직후부터 일정별로 꼼꼼하게 계획을 세우고 움직여야 합격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일 수 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성적 분석

수능 시험이 끝나고 영역별 정답이 공개되는 대로 가채점을 신속히 해 자기 성적을 최대한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작업을 잘 해놓으면 다음달 7일 성적 발표 뒤에도 이른 시일 안에 최상의 지원전략을 짤수 있다.

단 가채점을 기준으로 지원전략을 세울 때는 원점수가 아닌 표준점수와 백분위 성적이 기준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가채점을 끝냈다면 대학별 수능 반영 유형에 따라 자신이 해당 전형에 유리한지를 차분히 분석하고, 유리한 대학과 전형을 찾아 지원전략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평소보다 점수 잘 나왔다면 정시모집 공략

수능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모의평가 때보다 부진한 수험생이라면 이미 지원한 수시모집 대학의 대학별 고사 준비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올해는 수능 직후인 19일부터 서강대·경희대·성균관대·한양대 등 주요 대학이 대학별 고사를 실시하는 만큼 합격 가능성이 큰 대학을 선택, 집중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주의점은 주요 대학 대부분이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본인 성적이 수시지원 대학들의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꼼꼼히 확인해봐야 한다. 수능 성적이 평소보다 잘 나왔다면 정시모집을 적극 공략하는 것도 좋다.

 

◇정시 지원대학 결정한 뒤 원서마감일 등 꼼꼼히 챙겨야

정시모집 지원전략을 세웠다면 마지막으로 원서접수 마감일자, 시간 등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말고 꼼꼼히 챙겨야 한다. 원서접수 일정, 대학별 고사일, 합격자 발표일의 경우에는 수험생들이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할 내용이다. 

특히 원서접수는 12월31일부터 내년 1월4일까지 대학별로 일정이 다르므로 대학별 마감일과 마감 시간 등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