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의 가금농가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증상이 고병원성 AI으로 최종 확인됐다. 이에 우리나라는 3개월만에 또다시 'AI 청정국 지위'를 상실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6일 전라남도 해남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와 충청북도 음성 오리 사육농가에서 각각 집단 폐사한 닭과 오리 시료를 정밀검사한 결과, H5N6형 고병원성 AI로 확진 판정을 내렸다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두 농가에서 사육하던 닭 4만 마리와 오리 2만2천 마리를 살처분했다. 또 예찰지역(반경 10㎞) 내 가금농가에 대해 이동제한, 소독, 긴급방역 등의 조치를 통해 예방 조치를 시행했으며, 고병원성 AI로 최종 확인됨에 따라 특별방역대책 상황실을 AI 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하여 비상체제로 전환했다.
이번에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지난 충남 천안과 전북 익산의 야생철새 시료에서 검출된 것과 같은 H5N6형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로 확인, 방역당국은 철새에 의해 바이러스 유입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고병원성 AI 유형 중 H5N1, H5N8형 등이 검출된 사례가 있지만 H5N6형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중국과 동남아 등지에서 유행하는 H5N6형의 인체감염사례는 2014년 4월 이후 현재까지 중국(15명 감염, 6명 사망)에서만 있었다.
하지만 올겨울 다시 가금농가에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AI 청정국 지위'를 박탈당하게 됐다.
AI 청정국 지위가 박탈됐을 당시 닭과 계란, 오리 수출에 차질이 생긴 전례가 있고, 국내 시장에서도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기 때문에 농가와 관련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식품부는 고병원성 AI가 추가 발생하거나 확산하지 않도록 가금류 사육농가 및 관련 종사자들에게 소독을 철저히 하고 외부인·차량을 출입 통제하고, 축산농가 모임 및 철새도래지 방문을 삼가달라고 당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