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스타트업 피해 등 고려 일단 유지키로
사업 차질 불가피… 경제위 “활로 다시 찾아야”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지원 조례안 처리가 보류되면서 없어질 위기에 놓였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일단 유지하기로 결정됐다. 하지만 경기창조혁신센터의 내년도 운영 예산 절반이 삭감돼 사업 차질은 불가피 한 것으로 보인다.
20일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에 따르면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입주 스타트업의 피해 등을 고려해 유지하고 내년도 운영 예산(도비) 15억 원 가운데 절반인 7억5천만 원을 삭감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의 내년도 총 운영 예산은 63억2천만 원으로 국비 16억6천만 원, 도비 15억 원, KT분담금 31억6천만 원이다.
경제과학기술위원회 남경순 위원장(새누리당ㆍ수원1)은 “최순실 게이트로 국비 지원이 불확실해 서울시처럼 전액 삭감 의견이 있었지만 입주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의 피해 등을 고려해 일단 예산의 절반만 반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 국비가 통과되면 내년 추경에서 나머지 예산을 증액할 계획”이라며 “만약 국비가 지원되지 않으면 간판을 바꿔 다는 등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의 활로를 다시 찾아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경제과학기술위원회는 지난 16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조례안을 국비 지원 결과에 따라 처리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는 국정농단의 중심에 있는 최순실씨 측근인 차은택씨가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깊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는 만큼 지원 조례안을 다루는 것은 맞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지원조례안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사업 경비 등 출연금 지원과 공무원 파견 등 행정 지원 내용을 담고 있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의 핵심사업으로 전국 17개 시도에 들어섰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성남 판교공공지원센터 1ㆍ5층에 1천620㎡규모로 지난해 3월 개소했으며 제품개발테스트랩, 핀테크지원센터, 금융특허상담원스톱서비스존, 스타트업 입주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현재 74개의 스타트업이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다.
한편 경제과학기술위원회는 경기도형 청년수당 사업인 ‘청년구직지원금’ 예산(165억 원)도 120억 원가량 삭감했다. 이는 사업 시작이 내년 7월인 점을 감안한 결정으로 부족한 예산은 추경에 담기로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