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가금류 사육농가 전체 긴급예찰 나서
지난 19일 인접한 양주시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닭 240마리가 폐사하는 등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신고가 접수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포천시는 지난해에도 두 차례 발생한 AI로 인해 수십만 마리의 닭을 살처분한 만큼 차단방역에 온 힘을 쏟고 있다.
21일 포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일 인접 지자체인 양주시 백석읍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AI 의심신고가 접수되자, 20일부터 차단방역에 나서고 있다. 시는 우선 가금류 사육농가 전담공무원을 편성, 주 1회 임상예찰하던 것을 2회로 늘렸다. 또 축산과 자체적으로 지난 20일부터 가금류 사육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긴급 예찰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축산과 방역차량을 동원, 야생조류 서식지 주변을 소독하고 포천축협 공동방제단의 소규모 가금농가 소독지원을 주 1회에서 2회로 강화했다.
이와 함께 경기북부동물위생시험소의 협조를 얻어 방역취약 토종닭 농가에 대한 혈청검사를 실시하는 등 유관 기관과의 협조 체계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시는 가금류 사육농장에는 외부인 출입 때 소독을 철저히 하고, 가급적 축산차량을 농장 외부에 주차할 것을 당부했다.
박경식 시 축산과장은 “철새 유입이 많은 겨울철에 인근 양주시에서 AI 의심신고가 접수돼 외부인 출입차단, 축사 내외부 소독 등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포천시는 225농가에 닭 1천14만 마리를 사육하는 전국 최대 닭산지다.
닭 사육 규모는 경기도 전체 닭 사육량의 20%에 육박하며 전국적으로는 7∼8% 가량을 차지한다. 하지만 시는 지난해 1월과 4월 두 차례 4개 닭 사육농장에 AI가 발병, 18만 마리의 닭을 살처분하는 등 큰 피해를 보기도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