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트럼프發 금리 인상… 집단대출 문턱 UP 제2금융 대책 부심

국내 금융시장 ‘금리 딜레마’ 속 새마을금고, 저신용자 심사 강화
DTI 60% 초과땐 대출 거절 신협도 인상기조… 리스크↓ 최선

미국 금리가 수직 상승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이 혼란스러운 가운데 사실상 저금리 시대의 종말이 예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지역 제2금융권도 집단대출 심사를 강화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다.

 

22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선거 후보의 당선 이후 시중금리가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전인 8일 1.85%였던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16일 2.30%로 45bp (1bp=0.01%p) 급상승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달 들어 주요은행의 변동금리(코픽스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06~0.2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지만 한국은행은 미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국내 금리를 올릴 경우 1천300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의 위험이 커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대로 국내 경기를 살리겠다고 금리를 추가 인하하면 미 금리 인상과 내외 금리 차를 더욱 축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외국 자본의 유출을 부추길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따라 경기지역 제2금융권은 개별적으로 집단대출 심사를 강화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는 모양새다. 대표적으로 새마을금고는 이달부터 8등급 이하 저신용자에 대해 대출 승인을 제한하고, DTI(총부채상환비율)가 60%를 초과할 경우 원칙적으로 대출을 거절하기로 했다.

신협도 기본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를 따라가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TF팀을 구성해 여신 심사 가이드라인 마련에 한창이다. 신협 인천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분양이 활성화 돼있거나 수요가 많은 경우 금리 인상이 가능하지만, 천편일률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각 조합이 재량껏 판단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4분기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7(대기업 -13)이었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금리 등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기관이 완화하겠다고 밝힌 기관보다 많다는 의미다. 또 정부도 제2금융권을 포함해 비은행권의 대출 관리를 강화할 계획을 밝힌 만큼 기업들의 자금 조달 환경도 악화될 우려가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