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씨 되살아난 개헌론… 정치권 ‘제3지대’ 가시화

개헌 매개로 중도보수층 헤쳐 모여식 정계개편 주목
대선 앞두고 더민주 非文·국민의당과도 연대 가능성

여야 정치권이 ‘최순실 게이트’ 사태로 인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던 ‘개헌론’이 다시 점화되고 있다.

 

개헌론을 재점화되는 것은 이번 사태가 승자독식의 ‘제왕적 대통령제’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규정한 뒤 개헌을 통해 향후 ‘불행한 대통령’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으로 관측된다.

정가 안팎에서는 이에 따라 여야를 막론한 개헌론자들이 이를 기치로 ‘제3지대’에 모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을 탈당한 김용태 의원ㆍ남경필 경기지사와 비박계(비 박근혜)와 더불어민주당 비문계(비 문재인), 여기에 국민의당과 함께 ‘개헌’을 통한 ‘제3지대’가 거론되고 있다.

 

개헌론 점화는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불을 지폈다. 김 전 대표는 지난 23일 대선 불출마 선언 등에 관한 기자회견에서 현 정국에 대한 해결방안과 관련 “문제 해결은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탄핵과) 개헌도 동시에 추진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원기ㆍ김형오ㆍ임채정 전 국회의장 등을 비롯해 새누리당 조해진ㆍ민주당 유인태·국민의당 문병호 전 의원, 박형준 전 국회 사무총장 등이 함께하는 ‘나라 살리는 헌법 개정 국민주권회의’도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에 즉각 개헌특위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권 대선주자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의 경우, 지난 21일 자신의 싱크탱크인 동아시아미래재단의 1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제7공화국’에 관한 연설을 했다.

 

이같이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 구축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여야 인사들의 움직임 또한 주목되고 있다. 최근 새누리당을 탈당한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용태 의원 등 여당 탈당파들은 ‘제4지대’를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종반에는 개헌을 고리로 형성된 ‘제3지대’와 연계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같은 남 지사의 ‘제4 지대론’은 개헌을 모태로 중도보수층의 해쳐 모여식 정계개편 시나리오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따라서 정치권에선 새누리당 비박계의 탈당파가 상당한 세력을 이루는 데 성공한다면 결국에는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당, 민주당 일부 의원과 연대를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