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정보격차 해소사업’ 졸속 추진… 8개월만에 폐지

한글·엑셀·파워포인트 훈련… 장애인 일자리 창출 ‘야심찬 계획’
수료생 대부분 고령층 취업 차질… 교육업체 일감 몰아주기 의혹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사업이 교육부실과 중복사업 논란 등의 이유로 시행 8개월 만에 폐지수순을 밟게 됐다. 결국 충분한 검토 없이 사업을 졸속으로 추진하면서 행정력과 1억원에 달하는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24일 시에 따르면 장애인 IT분야 우수인력을 발굴·육성하려고 지난 5월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사업을 시작했다.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의 중·상급 교육을 통해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고용을 활성화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교육에 참여한 인원 대부분이 취업연계가 어려운 고령층인데다,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정보화 사업과 중복된다는 논란이 일면서 8개월 만에 폐지를 결정했다.

 

실제 이 사업에 참여해 교육을 수료한 180명 중 취업연계가 가능한 50대 미만 참가자는 46명에 그쳤다. 이들 중에서 취업에 성공하거나,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은 전무하다.

 

특히 시와 군·구가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장애인 정보화 관련 사업만 해도 11개에 이르고, 연인원 1천807명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 추진은 무리였다는 지적이 따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업체 선정 과정에서 일감 몰아주기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이 사업에 지원한 업체가 2개에 불과했고, 이 중 한 곳은 나머지 한 곳의 지회 성격이어서 사실상 같은 단체이기 때문이다.

 

조계자 시의원(국·계양2)은 “지난 5월에 시작할 사업을 4월에 부랴부랴 준비해서 급하게 시행하다 보니 실효성 검토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은 물론, 교육부실 문제도 발생했다”며 “정보화담당관실에서 하는 사업을 굳이 ‘장애인’을 붙여 특정 단체에 맡긴 이유를 도통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사회보장협의 결과가 늦게 나와 공모시기가 늦었지만 모든 절차는 적법하게 진행했다. 전문분야가 아니라 검토과정 등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이라며 “문제를 인식하고 즉각 사업을 중단한 만큼, 앞으로는 예산이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도록 사업계획 검토 등을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