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은 28일 국정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현장 검토본이 공개된 것과 관련해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여당은 “최선의 결과물”이라며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 이념편향 없는 교과서를 만들자는 입장을 보인 반면, 야권은 ‘친일·독재미화 교과서’라며 즉각 폐기를 요구했다.
새누리당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지난 1년간 학계 권위자들로 구성된 집필진과 다양한 전문가 및 현장교육관들이 참여해 만든 최선의 결과물”이라고 찬성했다.
염 수석대변인은 이어 “오늘 공개된 올바른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이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 우리 학생들이 균형 있는 역사관과 국가관을 확립해 나갈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법원이 깜깜이, 밀실 교과서의 법적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정했고 교육계, 역사계 모두 한목소리로 반대하고 있다”며 “친일·독재 미화 국정 역사교과서는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퇴장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인천 남동을)은 브리핑을 통해 “역시나 뉴라이트 교과서-교학사 교과서-최순실 교과서로 이어진 친일ㆍ독재미화, 역사왜곡ㆍ역사농단, 국정교과서의 연장선”이라며 “자랑스러운 항일운동 역사를 폄훼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한 헌법을 부정하는 국정 역사교과서는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박근혜 정권의 역사왜곡, 이념전쟁은 필패다. 박 대통령은 국정 역사교과서와 함께 퇴진하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회의에서 “건국절 친일 독재미화 논란을 피해갈 수 없을 것”이라며 “교육부는 국정교과서를 철회해 바른 역사교육의 길을 열길 바란다”고 밝혔다.
손금주 수석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임시정부의 적통을 계승한다는 헌법을 부인하고 광복절을 건국절로 날치기한 반헌법 교과서, 친일파와 군사독재를 치하하는 독재찬양 교과서”라며 “TF를 꾸려 우리 아이들에게 왜곡된 역사관을 심어주는 교과서를 반드시 폐기시킬 것”이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은혜(고양병)ㆍ김민기 의원(용인을) 등 야당 의원들도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역사교과서를 ‘박근혜 교과서’, ‘친일 독재 미화 교과서’로 평가절하 했다.
이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부정했을 뿐만 아니라 친일과 독재를 미화한 내용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위안부 학살을 은폐하고, 이승만ㆍ박정희 전 대통령의 공적을 과대 포장하고 과오는 축소시켰다”며 국정교과서의 즉각적인 폐기를 요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