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표결 9일로 늦춰질 듯

비박계 요구로 변경 불가피… 野3당, 오늘 다시 논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다음 달 9일 처리될 전망이다.

 

야권은 2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다음 달 2일 실시하는 데 잠정합의지만 탄핵에 동조하는 새누리당 비박계가 다음 달 9일 탄핵 표결을 요구하고 있어 막판 변경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박 대통령 담화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다.

 

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탄핵을 추진하자, 그런 부분에 대해 원칙적인 합의를 했다”며 “흔들림없이 탄핵전선에 몰두하겠다는 원칙을 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야 3당 단일 탄핵안 마련에 대해서는 “이미 실무적으로 많은 조율이 있었다”며 “이견 없이 조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쟁점이었던 뇌물죄 및 세월호 7시간 의혹 적시에 대해서는 “거의 다 합의했다”며 “늦어도 내일은 단일안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다만, 탄핵안 처리 시점은 30일 예정된 야 3당 당대표 회동에서 다시 논의될 전망이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우리는 탄핵의 관철을 위해 노력한다는 당론을 재확인했다”면서도 “날짜는 다시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야 3당이 다음 달 2일을 우선 목표로 탄핵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한 것에 비해 한발 물러선 셈이다. 다음 달 2일 본회의의 대안으로는 다음 달 9일 본회의를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다.

 

야권의 이 같은 방안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퇴진을 거론하며 ‘국회 내 논의’ 조건을 걸어 탄핵안 처리에 함께하기로 한 새누리당 비박계의 발을 묶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박계 의원 40여 명이 찬성하지 않으면 탄핵안이 본회의를 통과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실제로 비박계 일부 의원들은 박 대통령의 이번 담화에 탄핵안 처리 의지가 흔들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비주류로 구성된 비상시국위원회의 황영철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합의점을 찾기 위해서는 다음 달 2일까지는 시간이 너무 짧다”며 “9일 전까지 여야는 대통령의 조기 퇴진과 관련한 합의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협상에 임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만, 황 의원은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고 해서 탄핵 일정이 미뤄지거나 거부돼선 안 된다고 본다”며 야당 주도의 탄핵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처리는 다음 달 9일 시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