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론 확정… 정진석, 대통령 사임시기 협상 촉구
야권 시나리오 따라 4월이나 8월 가능성도 배제못해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단축을 시사한 가운데 ‘4월 퇴진-6월 대선’이 유력한 로드맵으로 떠올라갔기 때문이다. 다만, 야권이 ‘조기퇴진 협상불가’ 입장을 밝혔고 대선시기를 놓고 정치권과 대권주자들의 셈법이 복잡한 만큼 속단하기는 이르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기 대선시기로 내년 ‘6월’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와 6월 대선을 당론으로 확정했다.
‘4월 사퇴’는 지난 27일 국회의장과 총리 등을 지낸 정치권 원로들이 회동을 갖고 의견을 모아 제시한 박 대통령의 사퇴시한과 같다.
당시 회동을 주선한 박관용 전 의장은 “대통령 궐위시 60일 이내에 선거해야 하는데 각 정당의 형편을 보면 대통령 선거를 치를 수 없다”며 “국가적 혼란을 맞을 가능성이 높아 정당들이 대선을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하야 시한을 4월로 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야권에 “대통령 사임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퇴진과 조기 대선일정을 잡는 협상에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박 대통령이 4월 말 퇴진하게 된다면 60일 이후인 6월 말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
물론 ‘6월 조기 대선’을 속단하기는 이르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이날 “탄핵 가결 시 헌법재판소에서 내년 1월 정도에 결정이 나기 때문에 대통령이 즉시 퇴진하지 않더라도 늦어도 1월까지는 강제 퇴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이지만 이 경우 ‘8월 대선’과 함께 ‘4월 대선’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
12월 중으로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다면 헌법재판소의 최종 결론까지는 최대 180일이 소요되며, 이 경우 대선은 내년 8월까지 미뤄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자칫 ‘탄핵 의미’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이 야권 안팎에서 나온다. 4월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2월에 박 대통령이 퇴진하는 시나리오로 조기 대선은 4월로 앞당겨질 수 있다. ‘4월 대선론’은 박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에 따른 퇴진을 압박하는 수단과도 맥을 같이한다.
다만, 야권은 조기 대선을 위한 사퇴 시점이 고민이다.
만약 내년 4월 재보선 한 달 전에 직을 내려놓는다면 재보선을 통한 후임 선출이 이뤄지기 때문에 3월 이전 사퇴는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