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경기도 과학벨트] 하. 전문가 제언

“과학기술 장기적 관점 이해·협력… 道, 혜안 발휘해야”

제목 없음-1 사본.jpg
위기냐 기회냐.

경기도 과학기술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하 경기과기원)이 내년 초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으로 출범하고, 광교테크노밸리 내 연구기관이 지원금 중단 등의 위기에 놓이면서 경기도 과학의 미래는 갈림길에 서 있다.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경기도가 과학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과기원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 박원훈 전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회장

(전 경기과기원 이사장)

“낙하산 아닌 전문가가 과학 관련 기관 수장 맡아야”

박원훈 전 아시아과학한림원연합회 회장은 “경기과기원이 통폐합 되더라도 하드웨어 중심인 바이오센터는 부설기관으로 남아 독립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교테크노밸리 구축의 목적인 나노, 융합, 바이오 기술로 도내 산업 발전을 이루려면 유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과학 관련 기관의 독립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거다. 

그는 “현 정권에서 미래창조과학부가 운영되면서 기초 연구나 과학이 아닌 응용에만 신경 쓰게 됐다. 과학을 독립적으로 운영하지 않고 여타 다른 분야와 합치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꼬집기도 했다. 내년 출범을 앞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 대해서는 이른바 ‘낙하산 공무원’이나 비전문가가 아닌 과학을 이해하는 수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도에서 산하기관으로 내려 보내는 공무원이 너무 많다”면서 “과학기술 분야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하고 전문성을 살려야 하는 만큼 이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중앙정부와의 ‘합작’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박 전 회장은 “경기도는 지방 균형발전에 따라 중앙정부에서 내려오는 과학 관련 예산에 제약이 따른다”면서 “경기도는 대한민국 지방 과학기술의 롤 모델을 구축해왔다. 중앙정부의 예산이 모자라면 경기도가 우선 출자해서 정부가 참여할 수 있게 끌고 가는 선도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김유임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의원

(더불어 민주당, 고양 5)

“도와 정치권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필요”

경기도 과학기술의 미래에 대해 도 정치권 차원의 역할을 묻자 김유임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의원은 최근 이슈가 된 삼성 갤럭시노트7 대규모 리콜 사태를 언급했다. 

김 의원은 “삼성 갤럭시노트7 대규모 리콜 사태는 내부 과학 정책 결정권자들의 이해 부족에서 비롯됐다”면서 “무리하게 신제품을 출시해 치명적 결함이 발생했는데, 경기도의 과학기술 지원은 이와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표나 평가는 계량ㆍ성과주의였는데 이를 줄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질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면서 “연구의 성과가 기업의 기술개발로 연계되고, 경제활성화로 이어지도록 지원하려면 과학 분야 관련 예산과 조직이 늘어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초 출범을 앞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내년 5월 협약 만료를 앞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하 융기원)에 대해서는 각각의 역할과 성격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경기과기원의 기업 지원은 중기센터가 전담하고, 경기과기원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역할을 명확히 나눠 지원ㆍ서비스와 연구가 선순환 구조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융기원은 도의 지원과 예산 원칙을 명확하게 정비하고, 전략 기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도내 기업으로 수혜가 이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4차산업 시대를 앞둔만큼 도와 정치권 차원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더욱 많은 이해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