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성모병원, 목 디스크 신경차단술의 성공률과 안정성 높인 새로운 시술방법 개발

▲ 김영욱 국제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 김영욱 국제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김영욱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최근 서정훈 서울아산병원 교수와 함께 경추 신경차단술의 성공률을 높이면서도 부작용은 줄이는 새로운 시술방법을 담은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경추 신경차단술은 목 디스크나 경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 사용하는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척수 신경에 1㎝ 이내로 접근해야하는 고난이도의 시술이다.

 

특히 신경차단술의 기준이 되는 황색인대가 요추와는 달리 경추에서는 얇고, 사람에 따라 쉽게 끊어져 시술 자체의 위험도가 높다.

 

하지만 김 교수 등은 ‘경추 경막외 공간에서 저항소실법 시 위양성을 줄이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이번 연구 논문에서 기존의 경추신경차단술을 시행한 34명의 환자 군과 김영욱 교수팀이 개발한 새로운 신경차단술을 시행한 45명의 환자를 비교, 성공률 및 합병증 발생비율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기존의 경추 신경차단술은 시술 성공률이 70.6%인데 반해 김 교수팀이 개발한 새로운 신경차단술법은 시술 성공률이 93.4%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단 하나의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기존의 신경차단술법(공기저항소실법)은 공기를 넣어 신경을 찾아 국소 마취제인 리도카인을 주입하는 방법이나 김 교수팀의 새로운 신경차단술은 0.2㎖의 조영제를 사전 투입, 신경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위험하고 까다로운 경추 신경차단술의 성공률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확보했다”며 “목 디스크 환자의 치료에 새 장을 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