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수원시정 결산] 2. 청년·일자리 분야

“청년정책,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 젊은층 일자리 정책, 청년들이 만든다

▲ 수원시에서 주최한 ‘Job아You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헬조선’, ‘삼포 세대’, ‘열정페이’ 등 올해 유행한 신조어만 보더라도 청년층의 위기는 명백하다.

 

청년의 위기는 국가의 위기로 이어진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아예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출산율은 세계 최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오는 2018년부터는 생산 가능 인구(15~64세)가 줄어드는 ‘인구 절벽’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수원시가 청년 지원 정책에 두 팔을 걷어붙이며 올 한해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려 주목받았다.

■ 청년이 주도하는 청년 정책 수립

수원시는 올 한해 동안 ‘시민과 함께하는 청년 도시’의 기반을 닦는 데 주력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청년대표, 전문가,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청년정책 추진 준비단’을 운영한 후 2월25일 ‘수원형 청년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게 될 ‘청년정책관’을 신설했다. 6월에는 수원형 청년정책 비전 ‘청년 신나고 호감 가는 더 큰 수원’을 선포했다. 청년들이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인 ‘청년바람지대’(팔달구 행궁로)도 열었다.

 

또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다섯 차례에 걸쳐 토론회를 열고 청년정책에 반영했다. 수원형 청년정책의 방향은 ‘청년과 함께’, ‘청년을 이해하고’, ‘간섭하지 않는’ 등 크게 세 가지다. 기관에서 만든 정책의 틀에 청년들을 맞추지 않고, 청년들이 스스로 정책을 만들고 실행하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수원시는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정했다.

 

9월에는 제1기 수원시 청년정책네트워크가 발족했다. 120여 명으로 이뤄진 청년 네트워크 구성원들은 1년 동안 일자리, 문화, 복지, 주거, 창업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정책 실행 방안을 논의한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청년들의 희망과 꿈이 실현되려면 정책 구상부터 실행까지 청년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면서 “청년들의 바람이 이뤄지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지난 2~3일에는 ‘2016 청년, 전국은 지금’을 주제로 제1회 수원 청년 콘퍼런스를 열었다. ‘수원 청년 콘퍼런스 기획단’ 청년들이 기획한 콘퍼런스는 서울ㆍ대전ㆍ고양ㆍ시흥ㆍ전주시 청년들이 함께한 ‘지역 콘퍼런스’와 ‘청년 주거정책, 청년 은행’ 등을 이야기한 ‘테마 콘퍼런스’로 진행됐다. 청년들은 각 지역의 청년 정책을 소개하고, 청년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함께 고민했다.

 

■ 맞춤형 일자리 정책으로 모든 계층 지원

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바로 ‘양질의 일자리’다. 수원시는 청년을 비롯한 모든 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에서 2년 연속 최우수상을 받은 데 이어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 경진대회’에서도 2년 연속 우수상을 받는 쾌거를 이뤘다.

 

맞춤형 일자리 정책도 지속해서 펼치고 있다. 3월에는 ‘여성일자리 박람회’, 5월에는 ‘청년일자리 박람회’, 11월에는 ‘40~50대 중장년일자리 박람회’, ‘민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을 열어 호응을 얻었다. 또 지난해부터 수원상공회의소와 함께 청년들의 일본 IT업체 취업을 지원하는 ‘K-Move’ 사업을 펼쳐 90% 가까운 취업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올해 말부터는 기업과 청년 구직자 간의 ‘미스매칭’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기업의 ‘제대로 된’ 정보를 청년 구직자들에게 제공하는 ‘수원 JOBS’(일자리)를 운영할 예정이다. 염태영 시장은 지난 1일 시정 연설에서 “2017년을 ‘좋은 일자리 만들기’ 원년으로 삼겠다”면서 “청년층, 경력단절 여성, 중장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이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