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의 상금 규모로 치러진 올해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대회가 오히려 관객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의 집계에 따르면 올해 관객이 증가한 대회보다 줄어든 대회가 더 많다. 갤러리를 집계하지 않은 해외 대회와 입장 관중이 큰 의미가 없는 제주지역 개최 대회를 제외하면 10개 대회가 관중이 늘어난 반면 12개 대회는 입장한 팬이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1만명이 넘는 관객이 들어차 흥행에 성공한 대회 10개 가운데 6개 대회는 관객이 줄었다. 작년에 관객 2만명이 넘는 특급 대회가 5개에 이르렀지만, 올해는 2개로 줄었다.
관객 감소 원인은 복합적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인지(22)와 박성현(23)의 경쟁 구도가 올해는 박성현 독주 체제로 바뀐 것도 한가지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올림픽도 관객 감소에 한몫했다.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국내 프로 스포츠 시장이 위축되곤 한다.
또한 유례없는 폭염과 올림픽 특수가 겹친 7ㆍ8월에 개최된 대회와 최순실 게이트가 본격적으로 국민의 관심사가 된 시즌 막판 3개 대회가 모조리 관객이 줄어들었다.
반면, 관객이 늘어난 대회는 대부분 접근성이 더 나은 골프장으로 개최지를 옮긴 덕을 봤다. 시즌 마지막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은 지난해 2만3천200명에서 올해 3만300명으로 관객이 늘었다. 이 대회는 작년까지는 경기도 광주 남촌골프장에서 치러졌지만, 올해는 양주 레이크우드 골프장으로 개최 코스를 옮겼다.
여주 페럼골프장에서 인천 스카이72골프장으로 장소를 바꾼 KLPGA 챔피언십 입장 관객도 작년 4천300명에서 올해는 9천400명으로 두 배나 증가했다. 작년 5천800명에서 올해 6천800명으로 늘어난 KG·이데일리 여자오픈 역시 전북 무주에서 용인으로 장소를 옮겨서 성공한 경우다.
한편, 한국여자프로골프는 내년에는 대회와 상금 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관중 감소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골프 대회 대행사 관계자는 “박성현이라는 확실한 흥행 카드를 대신할 스타 선수가 아직 눈에 띄지 않는 데다 정치, 경제적 여건이 아무래도 올해보다 더 나빠질 것 같다”고 걱정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