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타는 청정지역] 청정지역 농가 도산위기… 병아리 입식 차질 ‘피해 눈덩이’

병아리 공급 농가 AI발병 봉쇄 강화·옹진 가금류 농가 ‘한숨’
입식 지연 장기화땐 도미노 붕괴 “지원받는 발병 농가가 부럽다”

▲ ‘일시 이동중지’ 명령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정부가 또다시 가금류 관련 종사자·차량·물품 등에 대해 ‘일시 이동중지(스탠드스틸)’ 명령을 발령했다. 이동중지 첫날인 13일 문이 굳게 닫힌 동두천의 한 대형 도계장에 운행을 멈춘 가금류 운반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오승현기자
‘일시 이동중지’ 명령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정부가 또다시 가금류 관련 종사자·차량·물품 등에 대해 ‘일시 이동중지(스탠드스틸)’ 명령을 발령했다. 이동중지 첫날인 13일 문이 굳게 닫힌 동두천의 한 대형 도계장에 운행을 멈춘 가금류 운반 차량들이 주차돼 있다. 오승현기자
인천 강화ㆍ옹진군이 가금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작 농가들은 청정지역이라는 이유로 병아리 공급이 끊기는 등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

 

13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AI최초 의심신고 이후 경기도를 중심으로 AI 확산 기류가 계속되면서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라 AI 청정지역의 경우, 타 청정지역에 한해 가금류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한 반출금지조항을 발동했다.

 

이에 따라 AI 청정지역인 강화ㆍ 옹진군 관내 992개 가금류 농가들은 오히려 병아리 입식이 고립되면서 피해를 입고 있다.

 

이들 지역은 지금까지 경기도 화성 등 경기남부지역과 충북 음성지역 등에서 병아리를 들여왔는데 해당 지역 모두가 AI 발병지역으로 반출이 금지된 지역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병아리 부화장 대부분이 AI 발병지역과 10㎞ 이내에 붙어 있어, 새로운 거래처를 찾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자칫 반입·반출금지가 장기화 될 경우, 지역 농가의 육계와 산란계 등이 바닥나고 시설 유지비 등의 지출만 계속돼 일부 농가들의 파산 등도 우려되고 있다. 병아리 반입이 한 달만 지연돼도 농가 당 피해액은 2~3천만원에 달해 지역농가 전체의 피해액은 수십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AI발병농가의 경우, 살처분·매몰 보상비와 별개로 일정기간 동안 생계안정자금 등도 제공돼, 역차별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형국이다.

 

안창회 대한양계협회 강화군지부 회장은 “이미 지역농가에서는 살처분·매몰로 보상도 받고, 일정 조건과 기간만 지나면 곧 바로 병아리를 입식해 키울 수 있는 AI 농가가 오히려 낫다는 불만이 쏟아진다”며 “지역과 상관없이 문제없는 병아리는 입식이 가능하게 규제를 풀어주든지, 생계와 시설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을 하든지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청정지역 농가들에 대한 대책은 아직까지 전혀 없는 상황이다. 다만 반입·반출 조항은 조만간 풀리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피해가 장기화 될 경우 관련부처들과 사안을 공유하고, 지원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