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직원보다 일만 더 가중
경기도가 ‘오픈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행정모델이라며 도입한 ‘전담관’ 제도에 대해 시행 1년 만에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특정한 도정핵심 사업을 전담하는 전담관들이 부서 내 타 업무까지 함께 담당하면서 업무가 지나치게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1월 오픈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경제민주화와 동반성장 실현을 위해 전담과 협업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행정모델이 필요하다며 ‘전담관’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주요 도정과제에 대한 세부 프로젝트별 TF팀에 6급 이하 직원을 전담관으로 선발ㆍ배치해 프로젝트 전 과정을 주도하게 하는 제도다. 도는 이 제도를 도입하면서 “잦은 인사이동과 주무관 1명이 많게는 6개 정도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존 시스템으로는 전문성 부족으로 사업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전담관을 두면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담관이 도입된 지 1년이 지난 현재 도내에는 ▲신성장추진그룹 ▲문화교육융합그룹 ▲상생그룹 ▲북부발전그룹 등 4개 그룹에 32명의 전담관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도청 조직도에 명시된 이들의 담당 업무를 보면 ‘배터리클럽 전문관’은 개성공단과 여성기업 지원 업무도 겸하고 있고 ‘간편결재 전담관’은 도민은행 및 금융상담센터 업무도 겸하고 있다. ‘일하는 청년통장 전담관’은 사회공헌활동지원과 자산형성지원사업, 광역자활센터및 자활기업운영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등 전체 자문관 중 1/3가량은 전담업무 이외의 타 업무도 중복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 행정직원들과 큰 차이 없이 사실상 업무 가중도만 높아진 것이다.
전담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A 주무관은 “전담관제도가 특정 사업에 대해 직원의 흥미를 끌어내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대부분의 전문관이 일반 업무를 함께 처리하고 있어 혼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으며 또 다른 전문관 B 주무관 역시 “TF업무만 하는 게 아니라 일반 사무도 함께 처리하고 있어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전담관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난 현재 일반업무와의 중복으로 인한 업무 과중 등 적지 않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전담관제도 자체를 다시 분석ㆍ평가해 큰 변화를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