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전국 최다 경기도에 총괄 지방청 없어… “고용부 경기청 신설” 커지는 목소리

중부고용노동청 수원이전 무산 
경기지청 기능확대 남부권 관할
무늬만 상급기관 기형적 중부청
행정수요 최대 도민 불편 가중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을 인천에서 수원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효율적인 고용노동 행정을 위해 경기지역을 총괄하는 고용노동부 경기청이 신설돼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4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0년 인천 소재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을 수원으로 이전하고자 직제 개정령안을 안전행정부에 제출하는 등 협의를 벌였다. 경기도의 인구가 인천시보다 4배 가량 많은 데다 매년 사업체 증가율 역시 경기도가 전국 어느 시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정치권과 인천지역 노동계의 반대여론에 부딪혀 직제 개편은 눈앞에서 무산된 바 있다. 이후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까지 나서 중부청 수원 이전을 줄기차게 요구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답보 상태를 보여왔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인천과 경기, 강원도를 총괄하는 중부청을 인천에 그대로 놔둔 채 기존 수원지청을 경기남부권 대표지청으로 지정, 경기지청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한편 수원을 비롯해 성남, 안양, 안산, 평택 등 지청을 관할토록 일부 기능을 확대했다.

 

이로 인해 실질적인 업무는 현재 중부청이 인천과 고양, 부천, 의정부 등 경기북부지역 지청을 담당하고, 경기지청이 수원, 성남, 안양, 안산, 평택 등 경기남부지역 지청을 담당하는 기형적인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이같은 상황이 벌어지자, 경기도를 총괄하는 중부청이 ‘무늬만 상급기관’이라는 볼멘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더욱이 중부청 대부분의 업무가 경기도 중심임에도 정작 도내에는 경기도를 총괄하는 지방청이 없어 민원인들의 불편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이에 경기지역의 효율적인 고용노동 업무추진을 위해 경기지역을 총괄하는 고용노동부 경기청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고용노동부 역시 지역 노사민정협의회의 원활한 운영과 효율적인 노사관계 지도 등을 위해 경기청 신설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경기지역의 행정수요 및 효율적인 고용노동 업무추진을 위해 경기청을 신설함이 바람직하다”면서 “경기청이 신설되면 보다 더 양질의 고용노동지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