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AI 확산 정부가 사실상 방치”

늑장대응과 안일한 대처 비난
“지자체·농가에 책임전가 안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15일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사실상 방치했다”며 “정부 실책에 따른 책임을 일선 시ㆍ군이나 농가에 전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는 이날 충남 천안에서 열린 고병원성 AI 방역대책 보고회에 참석해 “어제까지 도살된 가금류 수만 1천200만 마리를 훌쩍 넘어섰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표는 “AI 확산으로 시ㆍ군 방역망이 무력화됐다”며 ”최악의 사례로 기록된 2014년에는 195일 동안 1천400만 마리가 살처분됐는데 그와 비교해도 이번 피해규모는 확산속도와 피해 숫자에서 사상 최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늑장대응과 안일한 대처가 심각한 문제”라며 “기관보고와 현장방문을 통해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국회-정부 정책협의체’를 통한 국정 정상화의 협치를 제안했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민생을 위해 합치하자는 것을 거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AI 책임을 지자체와 농가에 전가하는 행태는 즉각 시정돼야 할 것”이라며 “AI가 발생한 농가의 20%는 이미 과거에도 피해를 보았던 곳이다. 부족한 인력과 예산, 미흡한 방역체계가 AI를 연례행사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민주당 차원에서라도 기관보고, 전문가 간담회, 현장방문을 진행하면서 정부의 소극적 대응과 방역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춘진 당 AI 특별대책위원장은 “매년 발생되는 AI 대책 마련 주문에도 이행이 잘 안 되고 있다”며 “정부는 백신정책 실시 여부를 긴급히 검토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