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장대응과 안일한 대처 비난
“지자체·농가에 책임전가 안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15일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을 사실상 방치했다”며 “정부 실책에 따른 책임을 일선 시ㆍ군이나 농가에 전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추 대표는 이날 충남 천안에서 열린 고병원성 AI 방역대책 보고회에 참석해 “어제까지 도살된 가금류 수만 1천200만 마리를 훌쩍 넘어섰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표는 “AI 확산으로 시ㆍ군 방역망이 무력화됐다”며 ”최악의 사례로 기록된 2014년에는 195일 동안 1천400만 마리가 살처분됐는데 그와 비교해도 이번 피해규모는 확산속도와 피해 숫자에서 사상 최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늑장대응과 안일한 대처가 심각한 문제”라며 “기관보고와 현장방문을 통해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국회-정부 정책협의체’를 통한 국정 정상화의 협치를 제안했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민생을 위해 합치하자는 것을 거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AI 책임을 지자체와 농가에 전가하는 행태는 즉각 시정돼야 할 것”이라며 “AI가 발생한 농가의 20%는 이미 과거에도 피해를 보았던 곳이다. 부족한 인력과 예산, 미흡한 방역체계가 AI를 연례행사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추 대표는 “민주당 차원에서라도 기관보고, 전문가 간담회, 현장방문을 진행하면서 정부의 소극적 대응과 방역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춘진 당 AI 특별대책위원장은 “매년 발생되는 AI 대책 마련 주문에도 이행이 잘 안 되고 있다”며 “정부는 백신정책 실시 여부를 긴급히 검토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