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로 인하여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 소추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는 등 정국이 요동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콘트롤 타워까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경제 위기가 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연말 소비자 물가가 치솟고 있는 등 서민경제가 더욱 악화되어 정부의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서민들의 대표식품인 라면 값이 크게 올랐다. 최근 라면 업체인 농심은 16일 라면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5% 인상한다고 밝혔다. 농심의 라면 인상 품목은 전체 28개 중 18개인데, 신라면은 780원에서 830원, 너구리는 850원에서 900원, 짜파게티는 900원에서 950원, 육개장사발면은 800원에서 850원으로 각각 오른다. 이번 가격 조정은 지난 2011년 11월 이후 5년 1개월 만에 단행된 것이다.
라면뿐만 아니다. 이미 맥주, 빵, 달걀 등의 가격이 오르는 등 장바구니 물가의 인상은 서민들의 가계를 심각하게 압박하고 있다. 화장품 같은 생활용품, 도시가스요금, 버스요금까지 이미 예상치를 넘어 올랐다. 최근엔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계란 값이 무려 10%이상 올랐으며, 일부 상점에서 품절 사태까지 발생, 판매를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어 계란대란이 더욱 확대될 것 같다.
연구기관의 발표에 의하면 월동기와 연말을 맞아 더욱 소비자 물가가 오를 전망이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월과 비교해 1.3% 올랐다. 8월 이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 달 만에 0.9%포인트로 올랐으며, 이는 국제 유가 하락 흐름으로 더욱 불안하다. 겨울 채소의 주요 산지인 제주도가 지난 10월 태풍으로 입은 피해로 채소 값도 고공행진을 지속할 것 같다.
이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물가 상승률을 올해보다 높은 1.3%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물가는 국내 수요 외에도 대외적 요인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데, 미국의 금리 인상과 국제 유가 상승으로 앞으로 물가는 더 오를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어 정부가 시급한 물가 안정책을 제시하지 않으면 서민경제는 크게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이런 소비자 물가를 안정시키려면 정부는 경제콘트롤 타워를 확실하게 마련하여 경제 불안을 해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금요일 유일호 경제부총리와 이주열 한은총재가 만나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상호 긴밀하게 협조한 것은 만시지탄이나, 다행이다.
이런 협조 관계가 정치권 전반에 파급되어 서민의 물가 상승 걱정을 덜어 주는 정책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정부는 월동기 물가 안정을 위한 비상대책을 수립함은 물론 정부와 국회는 여야정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 물가안정에 진력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