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교통, 국토부에 사업취하원 제출
市, 노선 중재안 실종… 책임론 도마위
인천시 서구 청라국제도시-서울 양재 M버스 사업이 노선 변경 등의 갈등(11월 25일자 7면)을 빚다 결국 전면 무산됐다.
1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청라-서울 M버스 사업에 참여했던 민간 운송사업자인 신동아교통은 최근 국토교통부에 사업취하원을 제출했다.
지난달 가진 주민 간담회에서도 이렇다 할 중재안을 찾지 못하자 시가 국토부에 지난 10월 사업면허 허가 보류를 요청해 놓은 상태였지만, 신동아 측은 결국 사업을 포기했다.
당초 시와 사업자 측은 최소한의 사업성(수익)을 확보해야 한다는 이유로 계양구 작전역을 거치는 BRT(간선급행버스) 노선을 주장했고, 청라 일부 주민들은 M버스 도입 취지와 어긋나는데다 도착시간이 늦어진다는 이유로 반발했다. 또 계양구 주민들은 수요가 분명하고 도착시간도 큰 차이가 없다며 반발하는 등 각 주체 간 갈등을 빚어왔다.
이처럼 결국 직행과 경유는 물론 사업 자체가 무산되자 각 주체간 갈등만 심화되고 있다.
특히 상당수 주민이 시가 적절한 중재안 등을 내놓지 못했다며 책임론을 주장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계양구 주민 A씨(39)는 “청라 주민들의 집단이기주의 때문에 이것도 저것도 아닌 무산으로 돌아갔다”며 “청라주민들의 말만 듣고 중심을 바로잡지 못하고 사업을 함께 무산시킨 인천시의 책임도 크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사업자에게 최소한의 사업성은 보장해줘야 하는데, (주민들이) 이를 이해해주지 못했다”면서도 “노선 신설에 대해서는 변함없다. 더 많은 주민이 찬성하는 안을 가지고 재공모를 요청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당초 인천시가 M버스 노선 신설을 요청해왔던 만큼 시의 중재안을 비롯해 입장 등을 재접수, 이후 재공모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