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정가 ‘새누리 비주류 탈당 선언’ 후폭풍

이학재·홍일표 이어 광역·기초의원 연쇄 탈당 움직임… 대선·지방선거 변수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35명의 탈당선언으로 인천지역 정가에도 동반 탈당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등 후폭풍이 몰아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22일 인천지역 정가에 따르면 탈당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이학재(서구갑)·홍일표(남구갑)의원 지역구에 속한 광역·기초의원들의 연쇄 탈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친박계와 행보를 같이하고 있지만 새누리당 소속 기초단체장과 시·구의원들은 지역구 국회의원의 행보와 궤를 같이할 수밖에 없어 다가오는 대선과 차기 지방선거에도 적지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학재 의원 지역구인 새누리당 서구갑 당원협의회는 23일 주요 당직자회의를 긴급히 소집한다. 이 자리에서 이 의원은 비박계와 탈당에 동참하게 된 배경과 앞으로 계획 등을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다 보니 서구갑 지역의 광역·기초의원들도 이 의원과 동반 탈당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의원이 서구청장을 역임하는 등 오랫동안 서구지역을 중심으로 정치활동을 펼쳐온 터라 이 의원과 반대 행보를 펼치기는 어려울 것이란 이유에서다.

 

서구를 지역구로 둔 A시의원은 “오랫동안 이 의원과 지역에서 활동을 같이해온 만큼 행보를 따라가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역시 탈당 결의에 이름을 올린 홍일표 의원 지역구인 남구갑에서도 홍 의원과 행동을 같이 할지 여부를 두고 시·구의원들의 고심이 이어지고 있다. B시의원은 “새누리당 이름으로 당선됐는데, 무조건 당을 떠나긴 어렵다. 정책적 비전을 보고 선택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의 추가 탈당과 시장, 기초단체장들의 탈당 여부도 관심사다. 새누리당은 인천 10개 군·구 중 절반이 넘는 6곳의 기초단체장을 배출했는데, 지역구 국회의원과 다른 독자적인 결정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유정복 시장은 최근 결성했다 해체된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에 참여의사를 밝히는 등 지역 정치권과의 별도 논의 없이 친박계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지난 4·13 총선 공천 과정에서 새누리당 친박계와 대립했던 C국회의원과, 탈당한 유승민 의원 지지 입장을 보였던 D국회의원 등의 추가 탈당 여부에도 관심이 몰리고 있다.

 

기초단체장은 차기 지방선거에서 공천권을 행사하고 조직력을 장악하고 있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탕달 여부에 따라 뜻을 같이 할 것으로 보인다.

 

기초단체장들은 현재까지는 주민들의 생활행정을 펼치는 군수·구청장이 중앙당의 혼란에 끼여들 필요가 없다며 유보적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분열이 현실화되면 차기 지방선거를 염두에 둘 수밖에 없는 기초단체장들도 선택의 시기가 빨라지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높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행보도 지역정가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친박계 정치인으로 꼽히는 윤상현 의원(남구을)을 중심으로 반 총장의 차기 행보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면서 반 총장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재편에 인천이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유 시장이 일찌감치 친박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새누리당 인천시당 내 견해도 크게 엇갈리고 있어 차기 시장선거를 앞두고 보수진영 분열이 가속화 될 경우 유 시장의 재선 행보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엽·양광범·최성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