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규칙에 대한 논의를 내년 초로 미루기로 했다. 당초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는 대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할 방침이었지만 포스트 탄핵 후 정국이 복잡하게 흘러가면서 ‘속도조절’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경선규칙을 놓고 대선주자간 분열 모습이 연출되면 역풍이 올 수도 있다는 상황인식이 깔려있는 셈이다. 전통적 야권 지지층은 물론 대선 승리의 관건이 될 중도층 흡수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이와 함께 4당 체제의 현실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귀국 등으로 대선판도가 크게 흔들리는 것도 한 이유다.
안규백 사무총장은 25일 “당분간 경선룰과 관련된 논의는 당에서 하지 않고 내년 초쯤 기구 구성과 관련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라며 “대통령 탄핵이라는 ‘천재지변’에 준하는 사태가 왔고 당력도 여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초 민주당의 당규는 경선 룰을 대선 1년 전인 올해 12월 19일까지 확정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최근 당헌당규강령정책위원회를 비롯한 상설위원회를 정비하며 경선룰 논의에 나설 채비를 서둘렀다. 특히 ‘조기 대선’을 고려해 올해 안으로 경선 ‘기본안’을 만든 뒤, 각 경선주자 측 대리인들과 룰 협상에 돌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포스트 탄핵정국에서 경선룰 논의가 자칫 이슈 집중력을 약화시킬 수 있고 우려가 제기되면서 속도조절에 나서게 된 것이다. 또 새누리당 분당사태와 이에 따른 4당 체제의 현실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귀국 등으로 대선판도의 유동성이 증폭된 상태에서 대권 레이스를 섣불리 공식화하는 데 따른 부담도 작용했다.
민주당은 당헌당규위 산하에 경선 룰 기구를 둔다는 방침으로, 양승조 당헌·당규위원장이 룰 작업을 총괄할지, 외부위원장 체제로 갈지 등 구체적 사항은 추가로 논의하기로 했다.
당 안팎에선 경선룰을 놓고 주자간 정면충돌이 빚어질 경우 포스트 탄핵국면에서 여론의 비판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결국 2012년 당시 룰을 준용하는 쪽으로 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2012년에는 100% 국민참여경선으로 치러졌으며 1위 주자의 득표율이 50% 미만일 경우 결선투표를 하도록 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