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하면 저소득층만 사는 곳이라는 인식은 이제 옛말이 됐다.
요즘 부동산시장엔 중산층을 겨냥한 뉴스테이 바람이 거세다.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과 함께 주택정책의 핵심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는 모양새다.
26일 국토교통부와 도내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뉴스테이는 중산층 주거 안정을 위해 지난해 도입된 월세형 임대상품으로, 최대 8년간 살 수 있고 임대료 상승률이 연 5%로 제한된다. 이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2017년 주택도시기금의 증액 예산을 뉴스테이 공급 확대(임대주택리츠출자 및 민감임대융자)에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 1조1천95억 원에서 내년에는 2조1촌457억 원으로 증가된 것이다.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다가구매입임대(1천55억원), 국민임대(1천707억 원), 영구임대(153억 원) 등의 기금 예산도 증액됐다.
현재까지 공급된 뉴스테이의 계약률은 완판 수준에 가깝다. 도내에서는 지난해 한화건설이 수원 권선에서 선보인 뉴스테이는 2천400가구 규모의 대단지임에도 모두 주인을 찾았다. 이 단지는 평균 3.1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롯데건설이 지난 5월 화성 동탄2신도시에 공급한 612가구 규모 뉴스테이도 4.1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데 이어 조기 완판에 성공했다.
뉴스테이가 이처럼 인기를 끄는 이유는 주거 안정 측면이 크다. 2년마다 치솟는 전셋값, 전세의 월세 전환에 허덕이던 세입자들이 뉴스테이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임대료도 주변과 비슷하거나 낮다. 따라서 국토부는 뉴스테이 정책의 지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임대주택법’을 ‘공공임대주택 특별법’과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으로 개편하고 지원 근거까지 마련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양질의 주택에서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장기간 거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사, 청소 등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