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김기춘·조윤선 등 10여곳 동시다발 압수수색…문체부 인사전횡·삼성합병 의혹 정조준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평창동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자택을 압수수색, 수사관들이 압수품을 들고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평창동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자택을 압수수색, 수사관들이 압수품을 들고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ㆍ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자택을 압수수색하며 ‘왕실장’을 정조준했다. 

이와 함께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집무실과 자택,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자택 등 10여곳에 대해서도 동시다발적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문체부 인사 전횡’과 ‘삼성 합병’ 의혹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26일 오전 7시부터 서울 종로구 평창동 김 전 실장 자택에 수사진을 보내 비서실장 시절 업무관련 기록과 서류 등을 확보했다. 

또 정부세종청사의 문체부 사무실과 관계자들의 자택 등도 압수수색했다. 대상에는 조윤선 문체부 장관의 집무실과 자택, 문체부 기획조정실ㆍ예술정책국ㆍ콘텐츠정책국 등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 정책의 주요 부서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 같은 특검의 행보는 ‘문체부 인사 전횡’ 의혹에 대한 규명을 위해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실장은 지난 2014년 10월께 당시 김희범 문체부 1차관에 “1급 실ㆍ국장 6명으로부터 일괄 사표를 받으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미르ㆍK스포츠 재단 설립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특검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김기춘 등의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에 대한 증거 확보를 위한 압수수색”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특검은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과 김진수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두 사람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의결 과정에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이 아닌지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부분은 청와대 지시 여부 규명에 따라 박 대통령의 제3자 뇌물수수 혐의로 이어질 수 있어 특검이 박 대통령을 향한 수사망을 좁힌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문 이사장과 김 비서관을 소환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