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반응 농가 주변 3㎞ 내 예방적 살처분
현장통제초소 설치… 발생 경로 역학조사
인천 서구 공촌동의 한 가금류 농가에서 AI 양성반응이 나타나 그동안 AI 청정지역을 유지한 인천 방역에 구멍이 뚫린 가운데(본보 12월27일자 1면) 시가 청정지역 강화를 사수하기 위해 예방적 살처분을 강화하는 등 AI 확산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 26일 서구 공촌동의 한 가금류 농장에서 폐사한 닭 사체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옴에 따라 주변지역 방역이 강화되고 있다.
시는 서구청과 인천보건환경연구원 직원 등 26명을 동원해 해당 농가 닭 25마리를 즉각 살처분했다. 또 해당 농가 반경 3㎞에 있는 17개 농가 416마리도 예방적인 차원에서 살처분 조치를 완료했다.
시는 또 해당 농장 출입구를 1곳으로 제한하고 현장통제초소 설치를 완료하는 등 AI 확산 방지에 주력하기로 했다. 인천 전역의 가축이동상황과 출입자 현황에 대한 기본 역학조사를 실시해 AI 발생 경로 추적에도 나서기로 했다.
시는 또 방역 사각지대로 꼽힌 소규모 농가에 대한 방역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 2014년 옹진군 영흥도의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AI 병원균이 발생한 이후 두번째이자 사육 농가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인천지역에서 AI가 발생한 것은 대규모 농가보다 상대적으로 방역에 소홀했던 소규모 농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힘에 따른 조처다.
시는 10㎡~50㎡ 규모이면서 가금류 수가 100마리 이하인 소규모 영세농가들을 집중 추적하기로 했다. 이들 농가는 현행법상 지자체 등록 대상이 아니다보니 일반 비닐하우스에서 사육을 하는 등 방역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시는 현재까지 소규모 농가 규모를 279곳 5천900여 마리로 보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예방적 살처분에 나설 수 있도록 관련 계획을 수립하고 검토에 돌입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시는 인천지역 가금류 농장 대부분이 위치한 강화지역 사수를 위해 방역 취약지역 일제소독을 강화하는 등 대응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시는 현재 주 2~3회 실시하던 농가 소독을 매일 1회 실시로 강화하기로 했다. 소규모 농가와 철새도래지, 도계장인근 등 방역 취약지역으로 꼽히는 곳에 집중 실시하기로 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AI 대응 추이를 긴밀히 협력해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지역 내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간이검사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온 폐사체를 경북 김천의 농림축산검역본부로 보내 최종 양성 여부와 고병원성 확진 여부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 중이다.
박연선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