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작성한 ‘개헌 논의 보고서’를 놓고 여야 개헌세력들의 반발이 거세다. 특히 민주당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당내 분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3일 민주연구원이 작성한 ‘개헌논의 배경과 전략적 스탠스 & 더불어민주당의 선택’ 보고서에 따르면 “4년 중임제에 긍정적이거나 비슷한 입장을 가진 의원을 다수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적극적 개헌론자나 이원집정부제 주장자의 특위 참여를 소폭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적시했다.
또 “제3지대가 구축되면 민주당의 2017년 대선 승리에 치명적 위협이 될 것”이라며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제3지대에서 결집한다면 비박·비문의 제3지대에서 나아가 ‘비문연합과 문재인 전 대표’의 선거로 전환될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 문 전 대표를 당내 대선 후보로 규정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대해 김용익 민주연구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금요일(지난달 30일)에 당 대표, 원내대표, 최고위원, 민주당 대선후보 및 캠프 5곳(문재인·이재명·박원순·안희정·김부겸)에 보고서를 줬다”며 “해당 문건이 특정 후보를 편파적으로 지원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김성원 대변인(동두천·연천)은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문 전 대표가 개헌 얘기만 나오면 펄쩍 뛰면서 반대해 온 이유가 드러났다”며 “국가운영의 틀을 구시대에 묶어두고 제왕적 대통령제의 혜택만 누리면서 폐해는 모른 체 하겠다는 것은 ‘국민배신, ’역사모독‘ 아닌가”며 직격탄을 날렸다.
민주당 초선 국회의원 20명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당내 경선이 시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특정인을 당의 후보로 기정사실화하고 있다”며 “‘비문 연대’, ’비문 전선‘, ‘비문 결집’ 등의 표현을 쓴 것은 당의 분열을 자초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민주당에서 대선후보 경선 규정을 비밀리에 추진하는 것과 함께 이번 개헌전략보고서는 공당으로서 비열한 행동”이라며 “문 전 대표의 뜻인가”라고 날을 세웠다.
구윤모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