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포천·이천 예산 편성 안해… 김포는 일부 학생들만 적용
지자체 “시설 없어 교육 어려운데 도교육청 일방적 추진” 불만
경기도교육청이 세월호 참사 이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존수영교육을 강화해 나가는 가운데 경기도내 일부 지자체에서는 생존수영 예산을 전혀 편성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의 교육 권리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4일 도교육청과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 도교육청은 광명·안산·화성ㆍ오산·부천 지역을 시작으로 초등학생(3~6학년)의 생존수영교육을 해마다 확대하고 있다. 생존수영교육은 교육부와 지자체가 예산의 절반을 각자 부담하는 사업으로, 이는 세월호 참사로 생존수영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도교육청은 올해부터 31개 시·군으로 생존수영교육을 확대·실시할 방침이며, 지난해까지 도내 1천221개교(13만 4천640명)의 초등학교 가운데 578개교(7만 2천225명)가 생존수영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여주와 포천, 이천지역에서는 생존수영교육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학생들이 수영 교육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이게 됐다. 여주의 경우 23개교(883명)가 이에 해당하며, 포천 31개(1천214명), 이천 31개교(2천241명) 등 총 85개교가 생존수영교육에서 제외됐다.
또 수영교육의 일부 예산만 편성한 김포지역은 일부 학생들만 수영교육을 받게 되면서 형평성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지역 내 전체 학교 41개교 중 18개교는 아예 생존수영교육에서 제외됐고, 나머지 23개교 학생들도 수영교육을 받을 수 있는 지가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았다.
이에대해 해당 지자체들은 도교육청이 협의 없이 생존수영교육을 진행한 데다 부족한 수영시설로 인해 예산을 세우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익명을 요구한 지자체 관계자는 “도교육청이 어떠한 협의 절차도 없이 일방적으로 공문을 통해서만 생존수영교육 예산을 편성하라고 했다”면서 “예산을 편성하지 못한 지역은 대부분 수영시설이 부족해 교육이 어려움이 많은데 이와 관련된 해결책을 모색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상황에 전문가들은 생존수영 교육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범 대림대 스포츠지도학과 교수는 “생존수영은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모든 학교에서 정확한 매뉴얼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면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생존수영 교육은 아직까지 실제 현장의 상황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으므로 위급 상황별 맞춤 생존수영 교육을 실시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이 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 후 학생들의 수영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생존수영교육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것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조속히 생존수영교육 예산을 편성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수영교육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한편 생존수영교육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수상에서 사고 발생 시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실제 현장에서 10초간 물 위에 떠있기 등 각종 도구를 활용한 생존법을 익히는 프로그램이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