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자연환경보전지역 지정… 생태놀이터도 조성”

인천시가 저어새, 백로 등의 철새와 금개구리, 맹꽁이 등의 야생생물을 보전하기 위해 자연환경보전지역 지정·관리에 나선다. 이를 통해 도시개발로 서식지를 잃은 야생생물들과 공생할 방법을 찾고, 이들을 관광·교육자원화 하는 등 지속적인 이용가능성도 타진한다.

 

4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에는 저어새, 백로 등 주요 철새들이 3월~9월 사이 대거 방문한다. 특히 이들은 서식은 물론 대부분의 번식 활동을 인천지역에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국 고유종인 금개구리와 맹꽁이 등 10여 종의 야생생물들이 주요 습지와 갯벌, 산지 등에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십수년 간 송도, 영종, 청라 등 지역 내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이 이어지면서 이들의 서식지는 점차 줄고 있다는 평가다. 인천에 서식하는 철새와 야생생물 중에는 법적으로 보호해야 할 멸종위기종과 보호대상 해양생물 등이 포함돼 있어 서식환경 개선 등이 시급하다.

 

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약 32억원의 예산을 세워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자연환경보전지역을 지정해 관리한다. 이와 함께 철새 및 야생생물의 생태놀이터 조성, 어린이 등 관람객들을 위한 난간 등 관찰시설 조성을 통해 관광자원화, 교육자원화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영종도 남단의 송산유수지와 강화 서남단 갯벌 등이 습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이를 포함해 람사르 총회가 지정한 우리나라 주요 습지 중 하나인 강화 매화마름 군락지 등의 습지 관리에 14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습지 보호지역 관리를 위해 낚시 행위 등은 제한되고, 일부 습지에는 관찰시설이 설치된다.

 

금개구리 등 야생생물 서식지에 대한 보호활동도 진행된다. 마니산 등 서식지 보호와 함께 금개구리 자연환경학습원 조성, 맹꽁이 교실, 대모잠자리 생태교실 등 교육자원화 작업도 병행한다.

 

다만, 지난해 철새도래지 인공섬 사업 등이 토지소유주와의 협상실패로 지연된 전례가 있는 만큼, 이해관계들과의 협상 및 의견 청취 작업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자연환경보전지역 지정·관리를 통해 철새 등 야생생물과 공생하는 기회가 마련되길 바란다”며 “중·장기 계획인 만큼, 지역주민, 토지소유주 등과 긴밀히 협력해 지속사업으로 이끌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